새누리당 일각에서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가 나오고 있지만 탄력을 받지 못하는 양상이다.
구주류 친이(친이명박)계인 이재오 의원이 지난 18일 대선 1년을 평가하면서 "책임질 사람은 책임지고 양보할 사람은 양보해야 한다"며 인적 쇄신론을 제기한 데 이어, 정우택 최고위원은 23일 아예 "전략적 차원에서 조기 전대 또는 선대위 체제 검토를 해 볼 필요가 있다"며 조기 전대를 공론화했다.
이처럼 대체로 친이 등 비박(비박근혜)계나 중도파 인사들이 3월 이전 조기 전대를 주장하고 있으나 친박(친박근혜) 주류나 유력한 당권주자들은 6월 지방선거 이후 개최를 원하는 모양새다.
현재로서는 내년 5월 임기를 다하는 황우여 대표가 비교적 무난하게 당을 이끌어온 데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내년 지방선거 전망도 그렇게 나쁘지는 않은 것으로 나와 굳이 조기 전대를 해야 하느냐는 부정적 의견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조기 전대가 힘을 못 받는 데는 출마 의향을 보이는 의원들이 별로 없다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
이는 조기 전대를 개최할 경우 온전히 임기 2년을 채운다고 해도 차기 당 대표는 오는 2016년 4월 제20대 총선에서 공천권을 행사하기 어렵고, 그외 최고위원들도 차기 공천 경쟁에서 꼭 유리하다고 말할 수 없는 현실론과 맥이 닿아 있다.
3선 이상 다선 의원들이 대거 지방선거에 관심을 두면서 전대 후보군이 많지 않은 것도 조기 전대가 힘을 받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현재 원유철(4선)·정병국(4선) 의원은 경기도지사, 서병수(4선)·유기준(3선) 의원은 부산시장, 서상기(3선) 의원은 대구시장, 정갑윤(4선)·강길부(3선) 의원은 울산시장에 각각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전대보다는 내년 5월 열리는 원내대표·정책위의장 선거 출마를 저울질하는 의원들이 어느 때보다 많다. 차기 원내지도부가 후반기 상임위원장 및 상임위 배분 권한을 갖기 때문이다.
/정의종기자
새누리당 조기전대론 '시큰둥'
중도파 주장 불구… 친박·당권주자 지방선거후 개최 원해
입력 2013-12-30 00:2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3-12-30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