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염의 원인 따라 세균성·바이러스성 구분… 주로 대장에 염증 발생 /아이클릭아트

장염의 원인은 무엇일까.

장염의 원인에 따라 크게 세균성과 바이러스성으로 나뉘지만, 단순히 물을 갈아 먹어 생기는 여행자 설사나 스트레스, 폭음, 폭식, 약물, 식품 알레르기 등에 의한 장염도 있다.

장염은 설사와 복통이 주증상이지만 위장에도 영향을 미쳐 구토나 식욕부진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장염은 장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주로 대장에 흔하고 소장에도 염증이 올 수 있다.

병의 경과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는데 보통 식중독은 급성 장염의 일종이며, 급성장염은 여름철 가장 주의해야 할 질환 중 하나이다.

여름철에 장염이 흔한 이유는 더위로 인해 음식이 상하기 쉽고, 특히 피서지의 불결한 위생시설이나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은 세균번식이 많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균에 오염된 상한 음식을 먹게 되면, 음식 자체 또는 세균에서 발생되는 독소로 인해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설사 이외에 대부분의 경우 구토와 같은 위장관증상을 일으킨다. 콜레라나 대장균은 심한 물 같은 설사를 일으키며, 콜레라의 경우 열이 없으나 대장균의 경우 미열이 있을 수 있다.

세균성 이질의 경우 이질 초기, 1~3일까지는 설사와 열이 있지만 그 이후 이질균이 대장점막을 손상시키며 대변량은 감소하나 횟수가 증가하면서 대변에 피와 점액이 섞이고 열과 함께 복통이 나타난다.

장염은 대부분 음식 섭취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식중독과 따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장염의 원인 중 포도상구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세균의 하나로서 식중독뿐만 아니라 피부화농, 중이염, 방광염 등 화농성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우리 나라에서 살모넬라 식중독 및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 다음으로 많이 일어나는 식중독의 원인균이다.

장염의 원인 중 살모넬라는 열에 약하여 저온 살균(62∼65℃에서 30분 가열)으로도 충분히 사멸되기 때문에 조리 식품에 2차 오염이 없다면 살모넬라에 의한 식중독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살모넬라 식중독의 원인 식품이 모두 비가열식품이 아니라 가열한 조리식품도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는 가열이 충분치 못하였거나 조리 식품의 2차 오염 때문이다.

살모넬라균은 저온 및 냉동 상태에서뿐 아니라 건조 상태에도 강하여 6∼9월에 가장 많이 발생되며 겨울에는 발생빈도가 낮은 편이다.

장염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식생활 실천사항으로 곡류는 껍질이 벗겨진 것을 사용하고, 고기는 살코기에 칼집을 넣어 부드럽게 섭취한다.

또 살이 연하고 담백한 생선과 섬유질이 많은 채소류는 부드러운 것으로 선택한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