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의 원인으로 철새가 지목된 가운데 이를 반박하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 송도에 사무실을 둔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은 26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에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철새 무리로부터 시작됐을 가능성은 적다"고 주장했다.
EAAFP의 입장은 '이번 조류 인플루엔자의 발병은 철새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정부의 의견과 대립되는 것이다.
정부는 과거 조류 인플루엔자의 발병 형태와 감염된 철새 및 오리의 바이러스 타입이 동일하다는 점을 토대로 철새에 의해 오리 농가까지 전염됐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EAAFP는 "이번에 발생 보고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는 일반적으로 오리농장과 같이 매우 좁고, 비자연친화적인 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가금류(닭, 오리)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질병"이라며 "야생조류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된다고 알려진 저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와는 성질이 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이번에 대량으로 사체가 발견된 가창오리는 지난해 10월 러시아 바이칼호에서 우리나라로 이동했는데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이 되면 2일 안에 죽게 된다"며 "이러한 이유로 외부에서 철새가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유입시켰을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오히려 오리 농장 등의 폐수로 인해 오염된 저수지에서 병이 발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EAAFP는 "정부는 체계적인 방역으로 조류 인플루엔자의 확산을 막아 철새들을 보호하고, 가금류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현재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확한 발병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조류 인플루엔자의 확산을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답했다.
■EAAFP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 보호를 위해 철새 이동로에 있는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 등 27개 파트너가 참여한 협의체이다.
/김주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