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다문화가정이 일반 시민 가정에 비해 경제적 어려움을 더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다문화가정의 안정적인 생활을 돕기 위해선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한국어 습득과 취업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과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인천 여성가족재단이 지난해 인천시 거주 다문화가정 86가구에 대해 조사한 결과, 5가구가 '국민 기초생활보장 급여'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인천 다문화가정의 기초생활 수급 비율이 5.8%에 달한다는 것으로, 국내 일반 가정 2.4%보다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전국 다문화가정의 기초생활 수급 비율은 5%다.

다문화가정의 수입도 일반 시민보다 훨씬 적었다.

여성가족부가 2012년에 실시한 '전국 다문화 가족 실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문화가정의 73.4%가 전국 월평균 가구 소득 수준(4인 가족 기준 408만원)을 밑돌고 있다.

특히, 차상위 계층을 분류하는 기준인 월소득 200만원(4인 가족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다문화가정도 41.9%나 돼 다문화가정 대다수가 경제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다문화가정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이유를 대다수 인력이 단순 노무나 일용직에 종사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다문화가정 여성의 단순노무직 비율은 29.9%로 일반 여성의 단순노무 종사자 비율(16.3%)보다 높았고, 일용직 비율 또한 18.9%로 전체 일용직 여성 비율(7.0%)보다 크게 높았다.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단순직에 종사할 수밖에 없는 데는 대부분이 학력이 낮은 데다 한국어가 서툴기 때문이다.

여성가족부는 국내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여성의 74.6%는 고등학교 이하 수준의 학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했다.

홍미희 인천 여성가족재단 정책연구실장은 "다문화가정의 여성이 제대로 된 직장을 얻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높은 학력과 한국어 능력이 필수적인데, 이런 능력계발 과정 없이 생계 때문에 취업에 나서다 보니 단순한 일을 하게 된다"며 "가난의 악순환이 계속되는 이유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과 연계한 직업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하고, 교육 기간 생계비를 지원해야 이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다는 의견이다.

경인교육대학교 한국다문화교육연구원 장인실 원장은 "다문화가정에서는 당장 먹고 살 길이 막막하기 때문에 체계적 교육 없이 취업에 나서는 경우가 많다"며 "교육 기간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은 물론 이들이 잘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찾아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경호·김주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