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원격의료 등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발해 10일 오전부터 하루 동안 집단휴진에 들어갔다.
이번 집단휴진은 응급실, 중환자실 등 필수 진료인력을 제외하고 주로 동네 개원의들이 운영하는 동네 의원과 대학병원 등 수련병원에 근무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의사들의 대규모 집단휴진은 지난 2000년 의약분업사태이후 14년만의 일이다.
의협은 "정부가 강행하려는 원격의료와 의료영리화 정책에 반대하고 더이상 잘못된 건강보험제도와 의료제도를 방치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휴진 배경을 밝혔다.
의협은 지난해 12월23일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발해 총파업을 결의했고, 지난 1일 끝난 회원들의 집단휴진 찬반투표에서 찬성안이 가결됨에 따라 이날 집단휴진을 실행하는 것이다.
휴진에 참여하는 의사들은 이미 병원 입구에 "사정상 오늘 휴진한다"는 공고를 붙이고 병원문을 열지 않았고, 일부 의원들은 오전부터 진료를 중단했다. 휴진에 참가한 전공의들도 오전8시부터 진료를 하지 않고, 세미나를 갖는 방식으로 의협의 투쟁에 동참한다.
전국의 동네 의원들이 얼마나 이번 휴진에 참여할지 주목되는 가운데 전공의들이 휴진에 동참키로 결의한 병원은 50-60여개 병원으로 파악되고 있다고 송명제 전공의 비대위원장은 전했다.
의협은 이날 집단휴진 후 11∼23일에는 '주 5일 주 40시간 근무'의 준법진료와 준법근무를 실시하는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가다 24∼29일 6일간 전면 집단휴진에 들어갈 계획이다.
하지만 10일 의사들의 집단휴진 참여율이 어느 정도냐에 따라 향후 의협의 투쟁에 변수가 될 전망이며, 준법진료 기간에 정부와 의협간 물밑대화를 통한 협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집단휴진이 이뤄지는 10일은 환자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월요일이어서 전국 곳곳에서 진료 차질로 환자들의 불편이 예상되고 있다. 또, 전공의들까지 휴진에 동참함에 따라 이들이 수련중인 대학병원 등의 진료업무도 일부 파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부는 집단휴진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이날 새벽부터 보건소를 비롯한 전국 공공의료기관의 진료시간을 연장하는 등 비상의료체계를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다니던 의료기관이 문을 닫은 환자들에게는 유관기관 홈페이지와 보건복지콜센터(☎129), 119구급상황관리센터(☎119), 국민건강보험공단 콜센터(☎1577-1000) 등을 통해 진료가 가능한 인근 의료기관을 안내하고 있다.
아울러 지역별로 의료기관의 휴진 여부를 파악한 후 의료법에 의거해 신속하게 업무개시 명령을 내린다는 방침이다.
대한약사회도 의료계의 집단휴진이 강행됨에 따라 국민불편 해소를 위해 약국들이 비상근무 체제에 들어가 운영시간을 연장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