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AI(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전국 곳곳에 확산됐다. 아직도 종식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방역당국은 물론 가금류 사육농가의 애를 태우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최근까지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모두 33건의 AI 의심신고가 접수돼 이 가운데 6개 도 18개 시군에서 양성 27건, 음성 6건으로 나타났다. 또 발생농장 가금류 및 예방적 살처분 등을 통해 매몰된 마릿수는 363농가에 860만8천마리로 집계되고 있다.

그래서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의 축산농가들이 애를 태우며 AI확산 종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현재 농림축산검역본부만이 가지고 있는 AI 확진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이양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실제 살처분에 나서는 지자체들은 정부의 지시가 내려오기 전까지 아무런 조치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AI 의심사례가 발생할 경우 전국의 지자체 공무원들이 시료를 채취해 안양에 있는 검역본부까지 직접 찾아가야 한다.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확산 방지를 위한 초동 조치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상존한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3일 고병원성 AI의 검사를 지방에서도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이양해 달라고 정부와 여당에 건의했다. 김문수 지사는 "나 아니면 안된다는 칸막이를 없애고, 검역본부에만 맡길 것이 아니다. 중앙정부만 한다는 식으로 권한을 틀어쥐는 것은 독점적 사고방식"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 달 2일 경기도 북부청사 AI대책 상황실을 방문한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 역시 고병원성 확진 판정을 받기까지 3일이라는 기간은 굉장히 길기에 시간을 허비할 수 없다며 문제를 제기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지방에서 일단 확진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당 차원에서도 검토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지자체중 세번째로 구제역 정밀진단기관 인증을 받은 경기도축산위생연구소의 경우 구제역 정밀진단을 위한 BL3 실험실을 갖추고 있음은 물론 이와 별도로 구분된 AI실험실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아직 AI 정밀검사의 지방이양이 이뤄지지 않아 실제 정밀검사 및 진단을 할 수는 없다. 물론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지자체의 전문인력 육성과 유지 여부 등에 의문을 가질 수는 있다. 하지만 구제역을 정밀진단할 수 있는 경기도를 비롯한 몇 개 시도에라도 하루속히 확진권을 이양해야 한다. AI방역과 조치는 시일을 다투는 일이기에 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