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이제 창당대회만을 남겨놓고 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통합이라는 야권의 지형변화가 지방선거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게 되고, 여당을 견제할 수 있는 야당의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통합신당은 여러 고비를 넘겨야 한다. 당의 지도체제, 당직, 지방선거에서의 공천 지분, 정강·정책 조율 등 당의 골간이 되는 사안들에 대해 아직 합의된 바 없다. 통합신당의 4개 분과위원장과 위원, 새정치비전위원회에 친노 의원들이 배제되면서 민주당의 친노 세력과 김한길 대표의 지도부와의 갈등, 새정치연합과의 관계 설정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만만치 않다.

선거를 앞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갈등이 표면화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방선거의 결과에 따라 권력투쟁은 얼마든지 노출될 수 있다.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새정치민주연합이 정치혁신과 민생을 담보할 수 있는 정책대안을 여하히 보여줄 수 있는가이다. 단순히 제도적 혁신의 차원에서 기득권 내려놓기만으로 새정치를 운위할 수는 없다. 구체적 민생 대안을 '먹고 사는 문제'에서 찾아야 한다. 지난 2010년 지방선거때 친환경 무상급식은 그것이 진보적 어젠다이기도 했지만, 민생과 연관된 '먹고 사는 문제'에 천착했기 때문에 선거 프레임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던 것이고, 야권의 지방선거 승리로 연결될 수 있었던 것이다.

당명에 '새정치'가 들어가 있으나 새정치는 아직도 그 실체를 드러내고 있지 않다. 새정치에 대한 구체적 모습이나 실천이 따르지 않으면 당명에 새정치를 표방한 것 자체가 부메랑이 되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게다가 어떤 정책적 어젠다를 쟁점화 해서 갈등 축으로 형성하느냐는 지방선거의 프레임과도 연결될 수 있다. 집권세력과 대등하게 정치적 긴장관계를 형성하고 견제와 비판 세력으로 제 역할을 해낼 수 있는 야당의 존재가 건강한 여야관계를 만들어낼 수 있다. 안철수 의원이 지향했던 새정치가 민주당과의 통합으로 유야무야 넘어가고 불협화음이 노출된다면 야권은 불가피하게 긴 동면의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민주당내의 각 계파나 새정치연합은 기득권을 내려놓는 데서 통합의 대의를 찾아나가는 지혜를 배워야 한다. 국민이 왜 그동안 야당을 외면했는지, 권력을 왜 효과적으로 견제하지 못했는지에 천착하는 것부터 출발할 때 갈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