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야생동물인 삵이 자연 방사됐다.


경기도 과천 소재 서울대공원 내 서울동물원은 멸종위기종 삵 5마리를 21일 오후 12시 40분 안산 시화호 상류습지에 방사했다고 밝혔다. 

자연 방사된 멸종위기 야생동물 삵 5마리는 지난 2012년 서울동물원에서 태어났다. 삵을 생태계로 방사하는 것은 전국에서 이번이 처음이며 동물원 태생을 야생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 역시 첫 시도다.

방사될 5마리는 암컷 3마리, 수컷 2마리로, 현재 서울동물원은 이들을 포함해 모두 16마리의 삵을 보유하고 있다.

▲ 멸종위기 삵 자연 방사. 서울동물원은 동물원에서 태어난 멸종위기종인 삵 5마리를 21일 오후 12시 40분 안산 시화호 상류습지에 방사한다고 밝혔다. 삵을 생태계로 방사하는 것은 전국 최초며, 동물원에서 태어난 삵을 야생으로 되돌려보내는 것 역시 첫 시도다. 동물원은 지난해 9월부터 살아있는 쥐, 비둘기, 미꾸라지를 주며 야생적응 훈련을 시키고 건강검진을 했다. 방사 후에도 위치추적 장치를 통해 3개월 이상 적응과정을 관찰한다. /연합뉴스=서울동물원 제공

살쾡이로도 불리는 삵은 국내에 유일하게 남은 토종 고양이과 야생동물이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이다. 생김새는 고양이와 비슷하나 몸집이 더 크고 황색에서 황갈색에 이르는 다양한 털 색에 온몸의 검은 반점이 있다.

서울동물원은 현장답사를 거쳐 쥐와 물고기 등 먹잇감이 풍부한 시화호 갈대숲을 삵의 방사 장소로 결정하고 지난해 11월 한강유역환경청에서 방사 허가를 받았다.

서울동물원은 멸종위기 삵 방사로 시화호 먹이사슬 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서울동물원은 지난해 9월부터 삵들을 상대로 살아있는 쥐, 비둘기, 미꾸라지를 주며 야생적응 훈련을 시키고 건강검진을 해왔다. 

자연 방사 후에도 위치추적 장치를 통해 3개월 이상 삵의 야생 적응과정을 관찰할 예정이다. 서울대공원 반려동물센터에 고급사료를 무상공급 중인 한국마스가 삵 추적기 10대(1천800만원 상당)를 기증했다.

서울동물원은 환경부와 공동으로 반달가슴곰과 여우를 방사하기도 했으며 2005년부터 북방산개구리, 도롱뇽, 두꺼비, 원앙, 꿩 방사작업도 꾸준하게 벌여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