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인덕원선 추진땐 동탄1호선 건설안한다"
2개 사업 정리안돼 수도권 서남부 교통대책 불투명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인덕원선)의 추진여부가 1년반째 안갯속에 놓이며, 노선이 맞물려 있는 동탄1호선도 덩달아 멈춰섰다.

동탄1호선 건설로 역세권 프리미엄을 기대했던 주민들의 혼란이 커지고 있지만,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쥔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는 서로 각자의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

인덕원선의 행보가 '고'가 될지 '스톱'이 돼야 할지 정해져야 동탄1호선 건설 등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교통 문제도 제 갈 길을 찾을 수 있다는 게 중론이다.

■ 꼬여버린 인덕원선과 동탄1호선

= 동탄1호선은 인구가 밀집된 광교·영통·서천·동탄·세교지구를 연계해 주민들이 이들 지역을 통과하는 KTX·GTX(동탄), 지하철 1호선(세교, 서동탄)·신분당선(광교)·분당선(영통)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이용토록 하기 위해 지난 2008년 동탄2신도시 조성과 더불어 계획이 마련됐다.

주민들이 이용하기 쉽게 지상위를 달리는 전차(tram) 형태로 만들겠다는 청사진도 나왔다. 그러나 당초 '인덕원~의왕~북수원~병점' 노선으로 계획됐던 인덕원선이 경제적 타당성이 낮다는 이유로 2011년 '인덕원~북수원~영통~서천~동탄' 노선으로 방향을 틀면서, 동탄1호선과 상당부분 노선이 겹치게 됐다.

경기도는 인덕원~수원 복선전철의 건설이 확정되면 노선이 중복되는 동탄1호선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계획이지만, 기재부가 2012년 인덕원선의 경제적 타당성을 재조사하기 시작한 후 1년반째 답을 내놓지 않자 동탄1호선도 추진여부를 결정짓지 못한 채 멈춰서 있는 것이다. ┃표 참조

■ 교통정리로 주민 혼란 최소화해야

= 지난해 7월 동탄1호선이 포함된 '경기도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이 발표되자, 수원과 용인·화성 등의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를 활용해 용인 서천지구, 동탄2신도시 등을 역세권으로 적극 홍보했다. 예비입주자들과 주민들의 기대도 부풀었다.

하지만 인덕원선에 가로막혀 동탄1호선 건설이 불확실해지면서 이 같은 기대는 불안과 혼란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동탄1호선은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의 한 축으로 건설비 일부가 주민들이 낸 분양가로 마련되는 만큼, 원활히 추진되지 않으면 주민들의 재산 피해로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또 동탄1호선의 대략적 계획이 알려지면서 인근 지역 토지주들도 나름의 토지이용 계획을 세우고 있어, 두 사업에 대한 정리가 지연될수록 주민 혼란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화성시 관계자는 "1가구당 1천만원가량을 교통인프라 조성비로 부담한 셈인데 계획이 불확실해지면서 입주예정자들 사이에서 벌써부터 '사기분양' 얘기마저 나오고 있다"며 "가장 큰 변수인 인덕원선의 추진여부부터 확실히 결정돼야 동탄1호선이 백지화돼도 그에 상응하는 대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국토부 관계자는 "교통정리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한다"며 "어려운 점이 많지만 주민들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진·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