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피로 증후군은 왜 나타날까.

춘곤증이라고도 하는 봄철피로 증후군은 계절의 변화를 신체가 따라가지 못해 생기는 일시적인 생리적 부적응 현상이다.

봄철피로 증후군은 일종의 계절병으로 충분히 수면을 취했는 데도 졸음이 쏟아지거나 권태감으로 일의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

봄철피로 증후군은 주로 3월 중순~4월 초순에 나타나는데, 1~3주 정도 지나면 증세는 사라진다.

운동부족인 사람, 과로가 겹친 사람, 고연령층일 경우 봄철피로 증후군이 심하게 나타난다.

봄철피로 증후군은 일조시간이 길어지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근육이 이완되어 나른함을 느끼게 된다.

날씨가 풀리면 외출이 잦아지게 마련인데, 외출시 단백질·비타민·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의 필요량도 증가한다.

이에 반해 이들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면 봄철피로 증후군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봄철피로 증후군 증상으로 드물게 불면증, 손발저림, 두통, 눈의 피로 등도 포함된다.

봄철피로 증후군을 예방하려면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신체가 피로 하지 않도록 뇌의 활동을 돕는 단백질·비타민·무기질 등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한다.

또 과음과 지나친 흡연, 카페인 등의 섭취를 삼가고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