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린이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타요버스'가 6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차 없는 거리'행사에 등장해 어린이와 부모들이 직접 버스에 타 보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타요버스'를 4월 한 달간 이벤트로 운행할 계획이였던 서울시는 기존 4대에서 100대로 늘려 어린이날까지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이 버스는 인기 국산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의 4가지 캐릭터를 버스 외부에 붙인 것이다. /연합뉴스
국산 애니메이션 '꼬마버스 타요' 캐릭터를 활용한 서울시의 타요버스가 인기를 끈 걸 계기로 여야 간 저작권 논쟁이 일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써먹는 사람이 임자"라고 입장을 밝혔다.

박 시장은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누가 만들었든 먼저 응용하는 게 '장땡' 아니냐"며 "세상에 하고많은 캐릭터가 있으면 뭐하느냐. 먼저 써먹는 게 임자다. 창조경제는 응용과 융복합 아닌가"라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원래 타요 애니메이션은 오세훈 전 시장이 제작해 서울시가 저작권을 가지게 됐는데 박 시장이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마치 자기 작품인 것처럼 써먹고 있다는 느낌"이라고 주장했다.

▲ 박원순 시장이 2일 서울 청년일자리허브 다목적홀에서 열린 '시니어 TED 강연회' 행사에 참석해 '내 인생의 무한도전'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박 시장은 이날 오전 경제비전 기자설명회에서도 "콜럼버스의 달걀을 보라. '누가 못해'라고 하지만 콜럼버스 이전엔 달걀을 세울 수 없었다"며 "창조와 혁신은 멀리 있는 게 아니라 주변에 있고 서울시 정책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또 타요버스 아이디어는 제가 만든 것도 아니고 시민과 버스회사 사장이 제안해 제가 그걸 즉각 받아들인 것"이라며 "그게 경청과 소통의 힘이다. 창조경제란 건 융복합이 제대로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26일 대중교통의 날을 맞아 타요버스 캐릭터를 포장한 시내버스 4대를 운행했다. 시는 이 버스를 당초 1개월 이벤트로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폭발적인 인기를 끌자 어린이날까지 100대로 늘려 운행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