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5월 5일 '어린이날', 북한에도 '어린이날'이 있을까? 

북한에는 남한과 같은 '어린이날'은 없지만, 비슷한 성격의 기념일로 6월 1일 '국제아동절'이 있다. 

'국제아동절'은 1949년 9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국제민주여성연맹이사회'에서 매년 6월 1일을 어린이들의 국제적 기념일로 제정한 데서 시작된 대표적인 사회주의권의 명절이다. 

6월 1일 '국제아동절'에는 북한 각지의 탁아소, 유치원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남한처럼 공휴일은 아니지만, 직장이 있는 부모들은 휴가를 내고 자녀와 함께 단란한 시간을 보내곤 한다. 

어린이들은 노래·춤·기악 등을 선보이는 학예회를 하거나 달리기, 자전거타기, 줄다리기 등 체육·오락행사를 즐긴다. 

일부 탁아소나 유치원에서는 어린이들을 인근 공원이나 경치 좋은 곳으로 데리고 가기도 한다. 

또 평양을 비롯한 각지에서는 여성·근로자가 주축이 된 기념보고회, 강연회, 다양한 체육·오락회를 열고 외국 어린이들과 친선연대 모임을 하기도 한다. 

지난해 '국제아동절'에는 평양 만경대유희장에서 평양 어린이와 외국 어린이들의 친선 모임이 열렸다. 이날 북한 매체들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 1위원장이 어린이들이 보낸 편지에 일일이 친필 답장을 보냈다며 그의 '어린이 사랑'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