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 출신들이 산하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 자리를 독식하는 '관피아(관료 마피아)' 문제가 세월호 참사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면서 경기도의 산하기관 낙하산 인사 관행이 도마에 오르고 있다.
경기도지사 출마 후보들은 앞다퉈 관피아 척결을 공약으로 내걸고 나서 해묵은 관행이 철폐될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3면
6일 경기도 등에 따르면 현재 도 산하 26개 공공기관에는 기관장을 비롯해 모두 30여명의 도 퇴직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대부분 정년을 1~2년 앞두고 명예퇴직 형태로 공직을 그만둔 뒤 자리를 옮긴 경우다.
경기도시공사는 본부장 4명 가운데 3명이 도 퇴직 공무원 출신으로, 사장 역시 지방선거 출마로 공석이 되기 전까지 도 고위직 공무원 출신이 재임했다.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영어마을, 경기복지재단, 경기과학기술진흥원 등도 본부장 자리가 퇴직 공무원 몫으로 분류돼 있다.
경기영어마을, 경기농림진흥재단, 평택항만공사, 경기도자재단, 경기테크노파크는 퇴직 공무원이 대표직을 맡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행태가 전문성 부족으로 인해 경영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전관예우 등으로 해당 기관에 대한 관리·감독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사실로, 세월호 참사 이후 정치권은 물론 여야 지사 후보들 사이에서도 개혁 대상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새누리당 남경필 의원이 지난달 30일 '생명안전망 구축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전 경기도 교육감과 원혜영 의원은 각각 지난 1일과 6일 '관피아 부패구조 해체'와 '경기도 안전대책'을 공약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최근 열린 국무회의에서 직접 '관피아', '철밥통', '관료사회의 적폐(積弊)' 등을 거론하며 개혁방안 마련을 지시한 바 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관피아 논란의 핵심은 관료 출신들이 전문적인 일을 해야 하는데 조직논리에 휩싸여 로비 등 다른 일에 동원되는 것"이라면서 "정부와 정치권 등에서 강도 높은 구조 조정을 예고한 만큼 일시적 미봉책으로 끝나는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성·이경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