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서울시장이 7일 오전 지하철2호선 기관사실에 탑승해 성수역으로 이동하며 최근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와 관련 현장 점검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지하철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2022년까지 8천억원을 들여 노후 차량을 교체하고 1∼9호선 관제센터를 하나로 통합한다.

사고 발생 때 5분 이내에 초기대응을 완료하는 '골든타임 목표제'를 도입하고 철도안전학교를 개설해 직원 교육도 강화한다.

서울시와 서울메트로는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서울지하철 운영시스템 10대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은 2호선 상왕십리역 추돌 사고가 발생한 지 7일 만에 나온 것이다.

시는 우선 제2의 추돌사고를 차단하기위해 서울메트로 소속 노후 전동차들을 애초 계획보다 앞당겨 교체할 계획이다.

시에 따르면 현재 1∼4호선 전동차는 모두 1천954량으로 이 중 36%인 714량은 사용연수가 18년 이상으로 고장이 잦다. 특히 2호선은 한 선로에 신형 ATO(자동운전장치), 구형 ATS(자동정지장치) 시스템이 함께 운용돼 혼선이 생기고 있다.

서울시는 2호선 노후차 500량은 계획보다 4년 앞당겨 2020년까지 ATO(자동운전장치)차로 교체하고, 3호선 150량은 2년 앞당긴 2022년까지 ATO차로 교체한다. 1호선 64량은 내년까지 수리를 완료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 호선별로 운영되는 관제센터는 2019년부터 '스마트(SMART)통합관제센터'로 통합 운영된다. 그동안 관제센터는 분리 운영과 중복 투자로 업무 효율성이 떨어졌고, 낡은 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상황이었다고 시는 밝혔다.

시는 철도 사고와 주요 운행 장애에 대해 '골든타임 목표제'를 도입한다.

▲ 2일 오후 서울메트로 2호선 상왕십리역에서 잠실 방향으로 가는 열차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 사고 열차의 유리창이 깨져있다. /연합뉴스
이는 사고 발생 5분 안에 상황전파에서 시민보호, 초기대응까지 완료하는 것으로, 위기대응 역량을 강화하자는 게 목적이다.

아울러 서울메트로는 철도안전교육을 전문적으로 시행하는 '철도안전학교'를 개설, 전 직원이 연 2회 의무적으로 교육을 수료하도록 할 방침이다.

전동차 경정비 등 10개 분야 243개에 이르는 외부 협력 회사에 대한 지도·감독도 강화된다.

서울시는 차량·궤도·신호 등 시민안전과 직결되는 업무에 대해 직영 또는 자회사 운영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열차 추돌 사고를 계기로 운영기관, 협력업체, 외부전문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지하철 운영시스템 개혁대책 테스크포스'를 구성한다.

민간 철도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점검도 상시화한다. 외부 전문가 200명으로 '감시 인력풀'이 신호 등 11개 분야를 점검하고 지적 사항 이행 실태도 확인한다.

서울메트로는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로 놀란 시민이 당장 안심하고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도록 3일부터 1∼4호선 전 구간의 첫 열차가 운행하기 전에 시설물을 특별점검하고 있다고 공개했다.

서울시는 이번 대책 발표와 함께 지하철 내진 성능 보강과 노후시설 재투자, 무임수송 보전을 위한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

시는 무임수송 등에 따른 재정 적자 증가로 지하철 운영기관 독자적으로 낡은 시설을 교체하기 힘들다고 강조했다.

시는 현재까지 마련된 지하철 운영시스템 개선안에 들어가는 비용은 노후 차량 교체 비용 8천775억원을 포함해 2022년까지 총 1조8천849억원이라고 설명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대책을 일회성 조치가 아닌 지하철 운영 시스템 전반을 개선하는 계기로 삼아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