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난관리분야 교육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근거를 둔 재난안전교육 지침 등에 따라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공무원들의 재난관리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하는 교육이다.
1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이찬열 의원이 정부로부터 받은 '2008∼2013 재난관리분야 교육운영 실적' 자료에 따르면 안전행정부의 지난 6년간 교육인원은 총 500명에 그쳤다.
이찬열 의원은 "안전행정부는 2008년 업무를 확대하고 간판도 두 차례나 바꿔달았지만 재난안전 역량강화에는 사실상 무관심했다는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난다"며 "평소 안전행정부의 재난안전 분야에 대한 의지와 전문성 부족이 이번 세월호 참사를 불러온 원인 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안전을 강조한 박근혜 정부에서 안전행정부로 명칭을 바꿔단 작년에만 교육실적이 100명을 넘겨 318명이었다.
안전행정부의 교육 실적은 재난관리를 주요 업무로 하는 다른 기관과 비교해도 훨씬 낮았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6년간 연평균 교육실적은 5천959명이고, 금융보안을 다루는 금융위원회는 3천912명(2008~2010년)이다.
금융위는 2012년부터 사이버 교육운영으로 실적이 더 높아졌지만 안전행정부는 사이버 교육 실적조차 부진했다.
안전과 거리가 먼 문화재청의 2008∼2013년 연평균 교육실적(686명)도 안전행정부보다 높았다.
/디지털뉴스부
![]() |
▲ 이찬열 의원 "안전행정부 이름값 못해… 재난교육 실적 미미".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안전행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세월호 침몰'과 관련한 현안보고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