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는 여·야의 일대일 구도속에서 치러지게 됐다. 이번 선거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관료체제의 개혁 등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다. 지방선거가 '여당의 무덤'이라는 말은 지방선거가 대통령 임기 중에 치러짐으로써 정권 심판론의 성격을 띠게 되기 때문이다. 실제 두번의 지방선거를 제외하곤 네 번의 지방선거는 여당이 패배했다.

이번 지방선거도 시기적으로 정권 출범 후 불과 1년3개월 남짓 지나서 치러짐으로써 정권심판론이 작동될 시기는 아니다. 그러나 지방선거의 최대 변수가 될 세월호 참사로 정부 불신이 극대화됨으로써 결코 여당에 유리한 선거가 아니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가 있었고, 이에 따른 후속조치와 개각이, 국회에서는 국정조사 청문회와 특검, 세월호 특별법 등이 논의될 것이다. 세월호 정국의 민심도 어느 쪽으로 형성될지 예단하기 어렵다. 정부 불신이 투표율 저하로 나타난다면 야당의 고전이 예상된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 불신이 정권심판론으로 연결되고 여야의 대립각이 형성되면서 선거를 관통하는 쟁점으로 구체화된다면 여권에겐 어려운 선거가 될 것이다.

선거의 속성상 여야가 승패의 유불리를 배제할 수 없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세월호 참사로 로고송과 요란스러운 선거운동 등을 자제하기로 한 상황에서 여야 모두 선거공학적 접근은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지지율 동반 하락은 정치에 대한 불신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며 특히 집권세력에 대한 지지율 하락이 야당의 지지율 상승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은 국민들의 정치냉소주의를 보여주는 것이다.

재난안전대책에 대한 여야의 공약이 선거의 최대 쟁점으로 부각되겠지만 지방선거는 지방자치에 입각한 풀뿌리 민주주의의 시금석이 되는 선거다. 유권자들도 어느 후보가 지역살림에 적합한지를 꼼꼼하게 따져보아야 한다. 역대 지방선거의 투표율이 50% 내외를 맴도는 낮은 투표율을 보여온 것에 비추어 볼 때 이번 선거의 투표율도 높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세월호 참사가 정치 불신으로 연결된다면 투표율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투표는 총알보다 강하다'는 금언이 있듯이 투표는 많은 것을 바꿀 수 있다. 투표는 국민의 권리이자 의무임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