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겹게 최종 합격하고도 또 평가 받으라고요?"

정부가 공공기관 채용에 '스펙초월방식'을 도입하겠다고 밝혀 취업준비생들에게 혼란만 가중시킨 가운데(경인일보 5월 26일자 22면 보도), 올해 도입된 '채용형 인턴 제도' 역시 취업준비생들에게 '비정규직을 양산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2월 2014년 공공기관 인력운영 방향을 제시하면서 채용형 인턴제도를 한국동서발전, 한국철도공사, 한국산업인력공단 등 12개 기관에 시범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채용형 인턴제를 도입한 공공기관의 경우 합격자 중 최소 70% 이상만 정규직으로 채용하면 된다.

실제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철도공사는 최종 합격된 사람의 70% 이상만 정규직으로 전환할 예정이며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한국전기안전공사도 최종합격자 중 80% 이상만 정규직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한국조폐공사나 한국자산관리공사 역시 채용형 인턴제라는 용어만 쓰지 않았을 뿐, 상황은 마찬가지다. 조폐공사의 경우 1차 서류에서 어학, 자격증, 공모전 수상 등을 살피고 2차에서 인성·직무능력검사, 3차에서 영어면접 시험까지 치른 뒤 최종 합격 여부가 갈린다.

하지만, 최종 합격을 하더라도 5개월 동안 주 5일, 1일 8시간씩 인턴으로 일한 뒤 좋은 평가를 받은 지원자(90% 이상)만 정규직이 될 수 있다.

공공기관 취업준비생 이모(24·여)씨는 "가뜩이나 공공기관 취업문이 좁은데 정부까지 나서 비정규직 양산에 힘을 보태고 있다"며 "언제나 '을'인 취업준비생들은 힘겹게 채용되고도 인턴만 하고 다시 쫓겨날까 두려움에 떨어야 한다"고 토로했다.

장모(28)씨 역시 "5~6개월 동안 평가를 더 할 거면서 기존 채용전형은 줄어들지 않았다"며 "기존 채용방식을 고수하면서 인턴 평가까지 도입하는 것은 취업준비생들에게는 이중고"라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그동안 청년인턴제가 채용과 이어지지 않는 점을 개선하고자 도입한 것뿐"이라며 "올해가 시범 도입 시기인 만큼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지켜보고 판단해야 할 것 같다"고 해명했다.

/윤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