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 사회 문화 부총리. 사진은 전교조 논평 '책임을 물어야 할 시기에 승진이라니 얼토당토않다' /전교조 홈페이지
정부가 교육 사회 문화 부총리직을 신설하기로 한 것과 관련,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박근혜 대통령이 27일 교육 사회 문화를 총괄하는 부총리를 두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교총와 전교조는 잇따라 논평을 내고 교육분야에 대한 집중성이 약화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교총은 논평에서 "(김대중 정부 시절) 교육부총리제는 학교교육, 직업교육, 평생교육, 고용을 비롯한 인적자원 개발과 관련된 영역을 종합 조정한다는 취지에서 신설됐으나 정책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고 학교교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오히려 약화하는 현상이 나타난 바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의 가장 큰 관심사인 교육 분야를 책임진 교육부장관이 방대한 사회·문화 분야까지 총괄해야 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교육전문성 및 집중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전교조도 '책임을 물어야 할 시기에, 승진이라니 얼토당토 않다'라는 제목의 논평에서 교육부총리제로의 승격이 교육부장관으로 하여금 학교 현장에 대한 책임감보다 비경제 분야의 국무총괄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교조는 "지금은 국무의원들 간의 소통보다 국민과의 소통이 중요하며 진정성 있는 진상 규명을 통해 근본적인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할 때"라면서 "교육부 장관은 승진시킬 때가 아니라 책임 있는 사퇴가 먼저"라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