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가 지난 22일 후임 총리에 지명된 뒤 전관예우 논란에 휩싸여 낙마하기까지는 꼭 엿새가 걸렸다.
'국민검사' 출신의 후보자라는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의 간판으로 나선 그는 지명 직후 "대통령께 가감없이 진언하겠다"며 '책임 총리'를 자청하면서 여론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TV 화면에 비친 안 후보자의 수락 기자회견 모습은 '위풍당당' 그 자체였다.
하지만 바로 이튿날부터 그의 재산 증식을 둘러싼 논란이 시작됐다. 18대 대선 당시 박 대통령 대선캠프 출신인 그가 지난해 정부출범시 청와대로부터 러브콜을 받지못하자 시작한 5개월간의 변호사 활동에서 16억원의 막대한 수입을 거둔 사실이 드러난 것.
공직사회 개혁을 비롯한 국가개조의 적임자로 낙점을 받은 그가 아이러니하게도 '법피아'(법조마피아)를 상징하는 '전관예우' 논란의 한복판에 서게된 셈이다.
그러나 동시에 안 후보자가 16억원의 수입 중 4억7천만원이라는 적지않은 액수를 사회에 기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관예우 논란을 둘러싼 여론의 흐름은 다소 유보 상태를 보였다.
논란이 이어지자 결국 안 후보자는 자신의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가 국회에 제출된 2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입장발표를 통해 "고액과 전관예우 논란이 있는 것에 대해 국민께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머리를 숙였다.
또 "국민 정서에 비춰봐도 너무 많은 액수"라며 "변호사 활동으로 늘어난 재산 11억여원을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승부수'를 띄웠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의 김기식 의원이 같은 날 브리핑을 통해 "안 후보자가 작년 5개월간 벌어들인 수익 16억여원 중 4억여원을 기부했다고 했으나 이 중 3억원은 세월호 참사 후 정 총리가 사임 의사를 밝히고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또 사회 환원을 밝힌 11억여원에 대해서도 "총리 지명을 받고자 3억원을 기부하고, 청문회를 통과하고자 또 11억원을 기부하는 것은 정치적인 기부라는 지적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폭로로 인해 안 후보자의 기부는 빛이 바래고 오히려 '기부금 총리'라는 공세만 초래했다. 급기야 안 후보자는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로부터는 "박 대통령이 총리 후보자 지명을 재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직격탄을 맞았다.
안 후보자가 "총리 지명 훨씬 전부터 기부 관련 문의를 해왔고, 총리 지명과는 전혀 상관없다"고 해명했지만 신뢰를 회복하기 역부족이었고, 오히려 기부 관련 문의 시점인 4월24일이 정 총리의 사퇴 시점(4월27일)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의심만을 키웠다.
이에 그치지 않고 뒤이어 줄줄이 제기된 의혹들은 안 후보자를 사면초가에 빠뜨린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에 위촉되고도 나이스홀딩스의 법인세 취소소송 항소심 변론을 맡은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일었고, 동서인 이영수 KMDC 회장이 전임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자원개발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도 안 후보자를 압박했다.
특히 27∼28일에는 각종 논란과 의혹이 한꺼번에 쏟아져나왔다.
현금과 수표를 5억1천만원을 보유한 것에 대해 "수임료 반환용"이라고 밝혔지만 소득총액 규모를 축소하려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고, 아들과 딸에게 각각 5천만원씩을 증여한 것을 놓고도 증여세를 제대로 납부했는지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의혹이 일었다.
이 밖에도 회현동 아파트 가격이 실제는 12억5천만원에 샀지만 등기부등본에 16억2천여만원이라고 기록돼 있는 점 때문에 아파트 매도시 양도세를 줄여보려는게 아니냐는 의혹이 꼬리를 물었고, 1978년부터 1985년까지 13차례 주소를 옮긴데다 2001년과 2007년에는 부인이 자녀만 데리고 주소를 옮긴 것을 놓고 위장전입 논란도 나왔다.
아들의 군복무 특혜, 변호사 개업 전인 2012년 8월과 2013년 3∼7월 건설사로부터 현금을 수수했다는 의혹, 대법관 재직 당시 순수입 증가분이 미미한데도 예금이 1억원이나 늘어 특정업무경비를 유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 등이 안 후보자를 괴롭혔다.
안 후보자는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청문회 준비에 전념하는 모양새였다.
전날 오후까지는 자신에 대해 '파상공세'를 퍼붓는 야당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잘 부탁한다"며 '읍소'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후보 지명일인 지난 22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에게 전화를 건 것을 시작으로 당 전략 라인 의원들과 일부 대변인 등 전면에서 자신에 대한 '저격수' 역할을 해온 이들에게도 전화를 걸어 몸을 한껏 낮췄다. 심지어는 검사 시절 수사 악연으로 얽힌 일부 의원에게도 전화를 했다는 후문이다.
안 후보자는 이날 오전 집무실이 마련된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으로 출근하면서 각종 논란에 대해 "청문회 때 충분히 이야기하겠다. 모두가 다 제가 부족한 탓"이라며 의욕을 보였다.
점심식사를 마치고 집무실로 돌아오면서도 기자들과 만나 야당의 사퇴 요구에 대해 "임명동의안이 제출됐는데 무슨 사퇴냐"라며 웃으며 말한 뒤 "표결하면 되지"라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하지만 오후 들어 갑작스레 입장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자 가족 문제가 청문회 쟁점으로 거론되고, 변호사 사무실을 접으면서 이미 사건을 맡겼던 의뢰인들이 항의 표시를 해오는 것에 고민을 한 끝에 스스로 사퇴 결심을 굳혔다는 것이 안 후보자 측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안 후보자는 사퇴 발표 직전 결심을 한 뒤 청와대 측에 연락을 했고, 박 대통령도 안 후보자의 사의를 수락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안 내정자가 오늘 언론발표 직전에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더이상 정부에 누를 끼치지 않기 위해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 비서실장을 통해 이 내용을 들은 박 대통령은 '안타까워 하시는 것 같았다'고 비서실장이 전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국민검사' 출신의 후보자라는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의 간판으로 나선 그는 지명 직후 "대통령께 가감없이 진언하겠다"며 '책임 총리'를 자청하면서 여론의 기대를 한몸에 받았다. TV 화면에 비친 안 후보자의 수락 기자회견 모습은 '위풍당당' 그 자체였다.
하지만 바로 이튿날부터 그의 재산 증식을 둘러싼 논란이 시작됐다. 18대 대선 당시 박 대통령 대선캠프 출신인 그가 지난해 정부출범시 청와대로부터 러브콜을 받지못하자 시작한 5개월간의 변호사 활동에서 16억원의 막대한 수입을 거둔 사실이 드러난 것.
공직사회 개혁을 비롯한 국가개조의 적임자로 낙점을 받은 그가 아이러니하게도 '법피아'(법조마피아)를 상징하는 '전관예우' 논란의 한복판에 서게된 셈이다.
그러나 동시에 안 후보자가 16억원의 수입 중 4억7천만원이라는 적지않은 액수를 사회에 기부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관예우 논란을 둘러싼 여론의 흐름은 다소 유보 상태를 보였다.
논란이 이어지자 결국 안 후보자는 자신의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가 국회에 제출된 2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입장발표를 통해 "고액과 전관예우 논란이 있는 것에 대해 국민께 송구하게 생각한다"고 머리를 숙였다.
또 "국민 정서에 비춰봐도 너무 많은 액수"라며 "변호사 활동으로 늘어난 재산 11억여원을 모두 사회에 환원하겠다"고 '승부수'를 띄웠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의 김기식 의원이 같은 날 브리핑을 통해 "안 후보자가 작년 5개월간 벌어들인 수익 16억여원 중 4억여원을 기부했다고 했으나 이 중 3억원은 세월호 참사 후 정 총리가 사임 의사를 밝히고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주장했다.
또 사회 환원을 밝힌 11억여원에 대해서도 "총리 지명을 받고자 3억원을 기부하고, 청문회를 통과하고자 또 11억원을 기부하는 것은 정치적인 기부라는 지적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러한 폭로로 인해 안 후보자의 기부는 빛이 바래고 오히려 '기부금 총리'라는 공세만 초래했다. 급기야 안 후보자는 이날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로부터는 "박 대통령이 총리 후보자 지명을 재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직격탄을 맞았다.
안 후보자가 "총리 지명 훨씬 전부터 기부 관련 문의를 해왔고, 총리 지명과는 전혀 상관없다"고 해명했지만 신뢰를 회복하기 역부족이었고, 오히려 기부 관련 문의 시점인 4월24일이 정 총리의 사퇴 시점(4월27일)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의심만을 키웠다.
이에 그치지 않고 뒤이어 줄줄이 제기된 의혹들은 안 후보자를 사면초가에 빠뜨린 것으로 보인다.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에 위촉되고도 나이스홀딩스의 법인세 취소소송 항소심 변론을 맡은 것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일었고, 동서인 이영수 KMDC 회장이 전임 이명박 정부 시절 해외자원개발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도 안 후보자를 압박했다.
특히 27∼28일에는 각종 논란과 의혹이 한꺼번에 쏟아져나왔다.
현금과 수표를 5억1천만원을 보유한 것에 대해 "수임료 반환용"이라고 밝혔지만 소득총액 규모를 축소하려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고, 아들과 딸에게 각각 5천만원씩을 증여한 것을 놓고도 증여세를 제대로 납부했는지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의혹이 일었다.
이 밖에도 회현동 아파트 가격이 실제는 12억5천만원에 샀지만 등기부등본에 16억2천여만원이라고 기록돼 있는 점 때문에 아파트 매도시 양도세를 줄여보려는게 아니냐는 의혹이 꼬리를 물었고, 1978년부터 1985년까지 13차례 주소를 옮긴데다 2001년과 2007년에는 부인이 자녀만 데리고 주소를 옮긴 것을 놓고 위장전입 논란도 나왔다.
아들의 군복무 특혜, 변호사 개업 전인 2012년 8월과 2013년 3∼7월 건설사로부터 현금을 수수했다는 의혹, 대법관 재직 당시 순수입 증가분이 미미한데도 예금이 1억원이나 늘어 특정업무경비를 유용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 등이 안 후보자를 괴롭혔다.
안 후보자는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청문회 준비에 전념하는 모양새였다.
전날 오후까지는 자신에 대해 '파상공세'를 퍼붓는 야당 의원들에게 전화를 걸어 "잘 부탁한다"며 '읍소'를 하기도 했다고 한다.
후보 지명일인 지난 22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에게 전화를 건 것을 시작으로 당 전략 라인 의원들과 일부 대변인 등 전면에서 자신에 대한 '저격수' 역할을 해온 이들에게도 전화를 걸어 몸을 한껏 낮췄다. 심지어는 검사 시절 수사 악연으로 얽힌 일부 의원에게도 전화를 했다는 후문이다.
안 후보자는 이날 오전 집무실이 마련된 정부서울청사 창성동별관으로 출근하면서 각종 논란에 대해 "청문회 때 충분히 이야기하겠다. 모두가 다 제가 부족한 탓"이라며 의욕을 보였다.
점심식사를 마치고 집무실로 돌아오면서도 기자들과 만나 야당의 사퇴 요구에 대해 "임명동의안이 제출됐는데 무슨 사퇴냐"라며 웃으며 말한 뒤 "표결하면 되지"라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하지만 오후 들어 갑작스레 입장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자 가족 문제가 청문회 쟁점으로 거론되고, 변호사 사무실을 접으면서 이미 사건을 맡겼던 의뢰인들이 항의 표시를 해오는 것에 고민을 한 끝에 스스로 사퇴 결심을 굳혔다는 것이 안 후보자 측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안 후보자는 사퇴 발표 직전 결심을 한 뒤 청와대 측에 연락을 했고, 박 대통령도 안 후보자의 사의를 수락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안 내정자가 오늘 언론발표 직전에 청와대 비서실장에게 '더이상 정부에 누를 끼치지 않기 위해 사퇴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해왔다. 비서실장을 통해 이 내용을 들은 박 대통령은 '안타까워 하시는 것 같았다'고 비서실장이 전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