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박 대통령이 해외 순방후 문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 요청서 제출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만큼 조만간 결론이 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문 후보자와 관련해 새누리당 지도부는 지난 18일 청와대가 '박 대통령 순방 후 임명동의안 재가 검토'라는 입장을 발표한 이후 닷새가 지난 22일까지 '침묵모드'를 지키고 있다.
이완구 비대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잘 모르겠지만 대통령이 오늘 여러가지 판단하고 결심하지 않겠느냐"며 문 후보자와 관련한 침묵 모드를 유지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가 "집권세력은 국민의 뜻을 받드는 자각과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에 대해 이 원내대표는 "나랏일 하는 분들이 신중하게 두루 살피면서 무겁게 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당 지도부의 공식적인 언급 자제에도 불구하고, 당내에서는 비주류뿐 아니라 주류 측에서도 '문창극 카드'를 더 이상 밀어붙이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목소리가 잇따르고 있다.
이는 친박(박근혜)계 핵심인 서청원 의원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문 후보자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갖게 된데다 야권이 문 후보자를 시작으로,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후보자 등으로 이슈 전선을 확대시키면서 새누리당을 코너로 몰아넣고 있기 때문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문 후보자가 버티면서 청와대와 각을 세우는 듯한 모습까지 보이는 것이 우려스럽다"며 "지금 상황에서 문 후보자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는 것이 좋고, 끝까지 버티기를 하면 청와대가 지명철회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별다른 외부일정 없이 참모들로부터 문 후보자 사태에 대한 여론 동향 등을 보고 받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문창극 카드' 논란을 놓고 고심했다는 후문이다. 청와대는 이날 김기춘 비서실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문 후보자 거취 문제 등 현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종·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