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새 지도부 구성을 위한 7·14 전당대회 경쟁이 갈수록 이상조짐을 보이고 있다.

양강 구도를 이어가고 있는 서청원·김무성 의원측이 여론조사 조작설을 놓고 논란을 벌이고 있는 데 대해 추격하는 다른 주자들이 이틀째 구태정치로 몰아 공세를 강화하는가 하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청문회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일제히 제기되는 등 경선판도의 대변화 조짐이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당내 소장파들도 가세, 22일 서·김 의원의 여론조사 조작 논란 등 혼탁양상에 대한 비판을 가하며 양강구도의 두 의원을 싸잡아 공격하고 있다.

■ 줄 세우기 이제 그만…

=혁신 지도부 구성을 기치로 내건 김영우(포천 연천) 의원은 23일 기자회견을 갖고 "서청원·김무성 후보 간 신경전이 도를 넘어 세 과시, 줄 세우기, 전과 논란에 이어 여론조사 조작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국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고 연일 맹비난했다.

그는 "이번 전당대회는 구태정치를 청산하고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혁신의 전당대회가 돼야 한다"고 주장하며 ▲청와대는 책임지는 인사를 하고 ▲전당대회는 인신공격이 아닌 정책대결로 하고 ▲공명선거 및 준법 선거가 돼야 하며 ▲세 과시, 줄 세우기를 당장 멈춰야 한다고 재차 촉구했다.

전대 잡음이 끊이질 않자, 초·재선 소장파 의원들은 이날 '쇄신전대추진모임'을 결성, 후보간 줄 세우기와 네거티브 캠페인을 지양할 것을 촉구하는 단체행동에 들어갔다.

이들은 첫 회의를 갖고 ▲소모적 네거티브 비방 ▲줄 세우기 관행 ▲단체식사 등 세몰이 관행 ▲청와대·주요 당직자·지방단체장의 경선 관여를 금지하는 등 전당대회 경선 관련 4가지 '금지사항'에 합의했다.

이들의 집단 의사표명은 서·김 의원 진영의 네거티브 경선에 대한 경고음으로, 향후 경선 구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정치이슈 극대화 노려

=당권 주자인 김태호·홍문종 의원은 누구도 말하기 껄끄러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자진 사퇴 요구에 대해 반박하며 청문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이 같은 발언은 선두권에 있는 서·김 의원이 자진사퇴하거나, 해명이 더 필요하다는 주장에 맞서 보수 지지층 결집을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김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청문회를 통해 국민이 문 후보자의 역사관과 가치관을 올바르게 판단할 기회를 주는 게 올바른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길"이라고 밝혔다.

그는 "언론은 객관적 입장에서 사태를 냉철히 분석해 국민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의무가 있음에도, 결론을 먼저 내놓고 끼워 맞추기 식 편집으로 강연 내용을 오도해 국민 판단을 흐리게 했다는 게 동영상 전체를 본 인사들의 일치하는 의견"이라고 주장했다.

친박 핵심인 홍문종 의원도 한 방송에 출연, "주말까지만 해도 바깥 여론이 썩 좋다고 볼 수는 없었으나 보수 언론사회에서 성명을 낸 이후 국민 여론이 그래도 '청문회 정도는 해야 하는 게 아니냐'고 변한 것 같다"고 말해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