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친일' 등의 논란에 휩싸였던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자신의 소회를 담은 기자회견을 갖고 끝내 자진사퇴했다.

이로써 박근혜 정부는 출범 이후 안대희 전 대법관, 김용준 전 헌재소장 등 3명의 총리 후보자가 청문회장 문턱을 넘기도 전에 낙마하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문 후보자는 이날 오전 정부 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금 시점에서 사퇴하는 게 박 대통령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판단했다"며 총리 지명 14일만에 후보직에서 물러났다. 청와대는 새 총리 지명자 인선에 본격 착수했다. ┃관련기사 4면

문 후보자는 회견에서 "저는 박근혜 대통령을 도와 드리고 싶었다"며 "그러나 제가 총리 후보로 지명받은 후 이 나라는 더욱 극심한 대립과 분열속으로 빠져 들어갔다"며 사퇴 결심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청문회가 무산된데 대해 "국회가 스스로 만든 법을 깨면 이 나라는 누가 법을 지키겠느냐"며 정치권에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고, 언론에 대해서는 "언론의 생명은 진실 보도인데 전체의 의미를 왜곡하고 훼손시킨다면 그것은 진실 보도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한편 청와대가 새 총리 지명자 인선에 착수한 가운데 김문수 경기도지사를 비롯한 정치인 기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또다시 나오고 있어 인선 결과가 주목된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