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용산기지의 평택이전 이후 연합사령부를 서울에 남겨둘 것이냐를 놓고 한미 군 당국이 견해차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에 따라 당분간 더 존치될 예정인 용산기지 내 연합사의 서울 잔류를 희망하고 있는 반면 국방부는 용산기지의 평택 이전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14일 "미측이 최근 연합사의 서울 잔류 문제를 여러 경로를 통해 타진해왔다"고 밝혔다.
당초 용산기지이전계획(YRP)에 따르면 용산기지는 2016년까지 모두 평택으로 이전하게 된다. 이에 앞서 연합사는 전작권 전환에 따라 2015년 12월까지 해체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미가 전작권 전환시기 재연기에 사실상 합의하면서 용산기지 이전 이후에도 연합사가 해체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됐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만약 전작권 전환 조건과 시기가 조정될 경우 2015년 12월 해체될 예정이던 연합사는 전작권 전환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은 연합사가 서울에 남는 것이 우리 국방부와 합참 등과의 업무협조 및 유사시 대응에 유리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방부는 연합사가 서울에 남게 되면 용산기지 이전의 취지가 훼손된다는 점에서 신중한 입장이다. 연합사가 서울에 잔류하면 연합사령관을 비롯한 주한미군의 주요 참모와 지휘관들도 서울에 남게 된다.
이와 관련,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국방당국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하고 있다"며 "용산기지는 용산기지이전계획에 따라서 평택으로 이전한다는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하더라도 지휘통제 체계가 연동돼 있기 때문에 연합 작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 군 당국의 견해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측이 우리 정부가 제안한 전작권 전환시기 재연기에 사실상 동의해준 상황에서 미측의 요청을 무작정 무시할 수만은 없다는데 군 당국의 고민이 있다.
김 대변인은 "용산기지이전계획이 세워질 때는 한미연합사가 해체되는 것을 가정하고 연합사 등 용산기지에 있는 모든 것을 다 평택으로 옮기기로 했다"며 "한미연합사는 전작권 전환 때까지 유지돼야 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지금은 조건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주한미군사령부가, 용산기지가 이전하더라도 나머지(연합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가 자연스럽게 숙제로 남지 않겠느냐"며 연합사의 서울 잔류 문제를 놓고 미측과 협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주한미군 측은 군사적 필요에 따라 미 2사단의 화력부대도 주한미군 평택 이전 이후 한강 이북에 남겨두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2사단 화력부대가 주둔한 지역의 주민들은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국 측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재연기에 따라 당분간 더 존치될 예정인 용산기지 내 연합사의 서울 잔류를 희망하고 있는 반면 국방부는 용산기지의 평택 이전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한 소식통은 14일 "미측이 최근 연합사의 서울 잔류 문제를 여러 경로를 통해 타진해왔다"고 밝혔다.
당초 용산기지이전계획(YRP)에 따르면 용산기지는 2016년까지 모두 평택으로 이전하게 된다. 이에 앞서 연합사는 전작권 전환에 따라 2015년 12월까지 해체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한미가 전작권 전환시기 재연기에 사실상 합의하면서 용산기지 이전 이후에도 연합사가 해체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게 됐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만약 전작권 전환 조건과 시기가 조정될 경우 2015년 12월 해체될 예정이던 연합사는 전작권 전환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측은 연합사가 서울에 남는 것이 우리 국방부와 합참 등과의 업무협조 및 유사시 대응에 유리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국방부는 연합사가 서울에 남게 되면 용산기지 이전의 취지가 훼손된다는 점에서 신중한 입장이다. 연합사가 서울에 잔류하면 연합사령관을 비롯한 주한미군의 주요 참모와 지휘관들도 서울에 남게 된다.
이와 관련,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한미 국방당국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위한 다양한 논의를 하고 있다"며 "용산기지는 용산기지이전계획에 따라서 평택으로 이전한다는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하더라도 지휘통제 체계가 연동돼 있기 때문에 연합 작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 군 당국의 견해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측이 우리 정부가 제안한 전작권 전환시기 재연기에 사실상 동의해준 상황에서 미측의 요청을 무작정 무시할 수만은 없다는데 군 당국의 고민이 있다.
김 대변인은 "용산기지이전계획이 세워질 때는 한미연합사가 해체되는 것을 가정하고 연합사 등 용산기지에 있는 모든 것을 다 평택으로 옮기기로 했다"며 "한미연합사는 전작권 전환 때까지 유지돼야 한다는 기본적인 생각을 갖고 있다. 지금은 조건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주한미군사령부가, 용산기지가 이전하더라도 나머지(연합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가 자연스럽게 숙제로 남지 않겠느냐"며 연합사의 서울 잔류 문제를 놓고 미측과 협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한편, 주한미군 측은 군사적 필요에 따라 미 2사단의 화력부대도 주한미군 평택 이전 이후 한강 이북에 남겨두기를 희망하고 있지만 2사단 화력부대가 주둔한 지역의 주민들은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