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A형간염·수두·말라리아 등 다른 사람에게 전이될 수 있는 각종 감염병 최다 발생지역의 오명을 수년째 뒤집어쓰고 있지만, 정작 병원과 보육시설에선 감염 사실을 당국에 제대로 신고하지 않는 등 관리 체계는 허점투성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3면
27일 질병관리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이날까지 전국 감염병 발생건수는 모두 5만260건으로, 이 중 경기도에서만 1만3천269건이 발생했다. 전국 감염병 발생 환자 4명 중 1명이 경기도민인 셈이다. 인구규모가 비슷한 서울시는 같은 기간 4천896건이 발생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았지만, 경기도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경기도는 2011년에 전국 감염병 발생건수의 23.8%, 2012년에는 21.5%를 차지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22.7%로 3년 연속 전국 1위의 불명예를 안았다. 특히 아동 환자수가 많아 올해 도내 감염병 발생건수 중 63%를 0~9세 영유아·아동이 차지했다. 아동들이 비교적 잘 걸리는 유행성이하선염과 수두 등의 발생건수가 다른 지역보다 많은 것도 한몫을 했다. 그래프 참조
그러나 '감염병 최다발생 지역'이라는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한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 도 자체 감사 결과, 조사 대상 133개 병원 중 절반이 넘는 72곳이 감염병 발생 사실(2천974건)을 아예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감염병 관리체계에 구멍이 뚫려 있었다는 얘기다.
여기에 도의 경우 타 지역에 비해 아동 환자수가 압도적으로 많은데도, 감염병 발생 시 확산이 쉬운 아동보육시설들은 신고기준이 모호하다는 이유 등으로 감염병 발생 신고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감염병에 걸린 아동이 생겨도 어느 정도는 일상적인 일이라고 판단해 많은 아이에게 전염되지 않으면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시설마다 각자의 방침대로 관리하는 상황이라 불시점검이라도 나가지 않으면 정확한 사정을 알긴 어려운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도는 인구도 많고 지역특성도 다양해 다른 지역보다 감염병이 더 많이 발생하는 측면이 있다"며 "감염병 발생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는 한편 보육시설에 대해서는 불시점검에 나서고 신고체계를 교육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