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국 자살률 OECD 최고 수준 /경인일보 DB |
감소세를 보였던 자살 사망자 수가 지난해 다시 늘어났다. 통계청은 23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3년 사망원인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자살로 사망한 사람은 모두 1만4천427명으로, 1년 전보다 267명(1.9%) 늘었다. 하루 39.5명이 자살로 생을 마감한 것이다.
인구 10만명당 자살 사망률도 28.5명으로 전년대비 0.4명(1.5%) 증가했다. 자살사망률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6.0명(26.5%) 늘어났다.
2003년 22.6명이었던 자살률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9년 31.0명, 2010년 31.2명, 2011년 31.7명으로 가파르게 올라갔다.
이후 2012년 28.1명으로 감소했으나 지난해 다시 상승했다.
2012년 이후에는 유명인 자살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가 적엇고, 그라목손 등 맹독성 제초제 유통이 금지돼 이전보다 자살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한국의 자살률은 여전히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최고 수준이다.
OECD 평균 자살률은 12.1명으로, 일본(20.9명)과 폴란드(15.7명) 등이 OECD 국가 중 상대적으로 높은 자살률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보다는 훨씬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자살률을 성별로 분석하면 남자 자살률은 39.8명으로 여자 17.3명보다 2.3배가량 높았다. 남자 자살률은 1년 전보다 4.2% 증가한 반면, 여자 자살률은 4.2% 감소했다.
연령별로 보면 1년 전보다 30대(3.8%), 40대(6.1%), 50대(7.9%)의 자살률이 증가했으며, 이외 연령층에서는 감소했다.
자살은 10대, 20대, 30대 사망원인 1위로 꼽히기도 했다.
한편 지난해 전체 사망자 수는 온화한 날씨 때문에 이전보다 줄었지만, 폐렴 사망 환자는 고령화 영향으로 계속 늘고 있다.
폐렴은 10년 전과 비교하면 사망률이 15.6명, 272.7%나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노인이 걸리기 쉬운 병인 폐렴은 고령화의 영향으로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