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대청도 지뢰 폭발 사고로 민간인 2명이 큰 부상을 당했다가 숨진 것을 두고 구조 작업의 적절성 여부가 도마에 올랐다.
지난 6일 오후 2시 47분께 인천시 옹진군 대청면 해병대 6여단 인근의 한 야산에서 A(55)씨 등 민간인 근로자 9명이 벌목 작업을 하던 중 땅에 매설된 지뢰가 터졌다.
사고로 A씨 등 2명이 다리가 절단되는 등 크게 다쳐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
신고 받고 도착한 해병대와 소방당국이 추가 폭발 우려에 접근에 애를 먹으면서 이들은 결국 5시간만에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
해병대가 백령도에서 지뢰 탐지 장비를 가지고 대청도에 도착한 것은 당일 오후 5시 20분께였다.
해병대는 지뢰 탐지 장비를 가지고 안전 통로를 개척하면서 A씨 등에게 접근하다가 수풀이 우거져 더이상 전진이 어렵자 작업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소방헬기가 공중에서 들것을 내려 A씨의 시신을 수습, 구월동 길병원으로 옮겼다. 남은 시신 수습 작업은 추가 장비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중단됐다. 7일 오전 현재 시신 수습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해병대의 한 관계자는 "섬 지역이라 구조 장비와 헬기가 도착하는 데 시간이 걸렸고, 사고 지점엔 수풀이 굉장히 우거져 장비 접근이 쉽지 않았다"며 "구조가 다소 늦어진 것은 사고 지역의 특수성 때문이지, 시간을 끌었던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해병대와 경찰 등에 따르면 이들이 작업하던 지점은 지뢰매설 지역 인근으로, 야산 정상에서 300m가량 떨어져 있다. 군 통제 지역은 아니지만 수풀이 우거졌고 철조망이 일부 설치돼 민간인은 잘 다니지 않는 지역이라고 해병대는 설명했다.
해병대와 경찰은 지뢰가 유실돼 매설 지역에서 벗어났다가 사고 지점에서 터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병대는 일대 지뢰는 북한군 침투를 막기 위해 1970년대 매설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이 매설지점을 인지하면 안되니까 지뢰매설 경고 표지판은 야산 입구에 일부만 설치돼 있다"며 "최전방인 서해 5도 지역에는 민간인 안전을 위해 지뢰 경고 방송을 수시로 내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근로자들은 옹진군이 추진하는 숲 가꾸기 사업을 대행하는 시행사 옹진·부천산림조합에 고용된 이들이다.
근로자들은 사고 전날에도 작업을 하다가 해병대로부터 주의를 받았으며, 사고 당일엔 해병대에 신분증을 모두 맡긴 뒤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옹진군의 한 관계자는 "군 부대가 있고 지뢰 우려 지역이라 근로자 대상 안전 교육은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며 "군 관계자와 함께 현장 조사를 마치고 사업을 설계했고 시행사에서도 경계 표시를 해놓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옹진군과 군 부대의 현장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안전불감증 논란이 일고 있다.
경찰은 사고 경위와 원인, 책임 소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입도해 수사에 착수했다.
/연합뉴스
지난 6일 오후 2시 47분께 인천시 옹진군 대청면 해병대 6여단 인근의 한 야산에서 A(55)씨 등 민간인 근로자 9명이 벌목 작업을 하던 중 땅에 매설된 지뢰가 터졌다.
사고로 A씨 등 2명이 다리가 절단되는 등 크게 다쳐 위독한 상태에 빠졌다.
신고 받고 도착한 해병대와 소방당국이 추가 폭발 우려에 접근에 애를 먹으면서 이들은 결국 5시간만에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
해병대가 백령도에서 지뢰 탐지 장비를 가지고 대청도에 도착한 것은 당일 오후 5시 20분께였다.
해병대는 지뢰 탐지 장비를 가지고 안전 통로를 개척하면서 A씨 등에게 접근하다가 수풀이 우거져 더이상 전진이 어렵자 작업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소방헬기가 공중에서 들것을 내려 A씨의 시신을 수습, 구월동 길병원으로 옮겼다. 남은 시신 수습 작업은 추가 장비가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중단됐다. 7일 오전 현재 시신 수습 작업이 진행 중이다.
해병대의 한 관계자는 "섬 지역이라 구조 장비와 헬기가 도착하는 데 시간이 걸렸고, 사고 지점엔 수풀이 굉장히 우거져 장비 접근이 쉽지 않았다"며 "구조가 다소 늦어진 것은 사고 지역의 특수성 때문이지, 시간을 끌었던 건 아니다"고 설명했다.
해병대와 경찰 등에 따르면 이들이 작업하던 지점은 지뢰매설 지역 인근으로, 야산 정상에서 300m가량 떨어져 있다. 군 통제 지역은 아니지만 수풀이 우거졌고 철조망이 일부 설치돼 민간인은 잘 다니지 않는 지역이라고 해병대는 설명했다.
해병대와 경찰은 지뢰가 유실돼 매설 지역에서 벗어났다가 사고 지점에서 터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병대는 일대 지뢰는 북한군 침투를 막기 위해 1970년대 매설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군이 매설지점을 인지하면 안되니까 지뢰매설 경고 표지판은 야산 입구에 일부만 설치돼 있다"며 "최전방인 서해 5도 지역에는 민간인 안전을 위해 지뢰 경고 방송을 수시로 내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근로자들은 옹진군이 추진하는 숲 가꾸기 사업을 대행하는 시행사 옹진·부천산림조합에 고용된 이들이다.
근로자들은 사고 전날에도 작업을 하다가 해병대로부터 주의를 받았으며, 사고 당일엔 해병대에 신분증을 모두 맡긴 뒤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옹진군의 한 관계자는 "군 부대가 있고 지뢰 우려 지역이라 근로자 대상 안전 교육은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며 "군 관계자와 함께 현장 조사를 마치고 사업을 설계했고 시행사에서도 경계 표시를 해놓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옹진군과 군 부대의 현장 조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사고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안전불감증 논란이 일고 있다.
경찰은 사고 경위와 원인, 책임 소재 등을 파악하기 위해 입도해 수사에 착수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