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위치조차 파악 못해
지속적 민간피해 불보듯
비금속 탐지장비 보강
철저한 관리방안 수립해야


대청도 지뢰 폭발 사고 현장에서 발목지뢰, 대인지뢰가 무더기로 나온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서해 5도 지뢰 매설지역에 대한 전면 재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군(軍)이 지뢰 매설 여부조차 정확하게 모르는 '미확인 지뢰지대'를 방치하면 향후 지속적인 민간인 피해가 불보듯 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지뢰 피해자를 돕고 미확인 지뢰 제거를 위해 활동하는 단체인 평화나눔회의 조재국(40) 대표는 "지뢰매설지역에 대한 관리가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평화나눔회에 따르면 우리나라 지뢰매설지역은 민통선 비무장지대와 그 주변뿐 아니라 후방까지 방대하다. 현재 남한지역에 매설된 미확인 지뢰를 폭파하고 완전히 제거하는 데 400년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평화나눔회는 보고 있다.

조재국 대표는 "군(軍)은 현재 우리나라에 미확인 지뢰지대가 어디에 있는지, 몇개가 있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지난 6일 발생한 대청도 폭발사고 지역에서 이중 철조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6·25이후 주둔했던 미군이 매설한 것으로 보인다"며 "당시 미군은 우리 군(軍)에 지뢰 매설 지도를 제대로 넘겨주지 않았다"고 했다.

한국 외교·안보전략을 연구하는 단체인 코리아연구원 김창수(51) 연구실장은 "그동안 많은 지뢰폭발사건이 있었지만 (대청도사건처럼) 지뢰가 대량으로 발견된 적은 없었다"며 "지뢰매설지역인데도 관리하지 않았다는 것은 군의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군이 헬기로 살포한 지역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민간인 피해를 막기 위해 조속한 지뢰 관리·제거 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청도 지뢰폭발 사고 현장에서 지뢰탐지 작업에 나섰던 김기호(60) 한국지뢰제거연구소장은 "현재 군은 주로 금속지뢰 탐지기만 사용할 뿐 대청도에서 발견된 M14 등 비금속 지뢰를 탐지할 수 있는 장비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장비도 없이 군이 인력으로 지뢰작업에 나설 경우 또다른 피해자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분단 상황에서 군사구역의 지뢰를 완전히 없애자는 주장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 다만 민간인 피해 방지를 목적으로 한 지뢰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익명을 요구한 전문가(DMZ 연구자) A씨는 "지뢰 매설 지역에 묻힌 지뢰도 철저하게 관리하고 확인하지 않으면 홍수 등으로 유실될 수 있고, 이는 곧 민간인 피해로 이어진다"며 "대청도 사건을 계기로 군이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설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