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촌동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에볼라 바이러스병 관련 대한의사협회·대한간호협회 공동 특별 기자회견'에서 최재욱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소장이 방역복 등 개인보호장비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보건당국이 에볼라 환자 진료에 대비, 국내 의료진의 개인보호장비 수준을 한 단계 높이기로 했다.

질병관리본부는 22일 기존 '레벨 D' 등급 개인보호장비 대신 '레벨 C' 등급 전신보호복 5천300개를 국가지정 격리병상에 우선 배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같은 수준의 보호복을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국에 파견되는 의료진에게도 지급할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일 개정된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의 에볼라 관련 안전지침을 참고해 이 같이 조처했다"고 설명했다. 

새 지침은 에볼라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의 보호장비를 강화했다. 

이에 따르면 의료진은 개인보호장비로 기존 전신보호복보다 방수성이 뛰어난 '레벨 C' 전신보호복, 이중 장갑, 이중 덧신(겉 덧신과 방수 덧신로 구성), N95호흡마스크(또는 전동식호흡장치), 안면보호구 등을 갖춰야 한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WHO와 미국 CDC 등이 정한 국제 보호장비 기준을 국내에도 적용할 것"이라며 "아울러 에볼라 환자 발생에 대비, 지정 격리병상 의료진을 대상으로 개인보호구 착·탈의법 등을 지속적으로 교육하겠다"고 밝혔다. 

보건당국의 이번 조치는 대한의사협회 등 국내 의료 전문가들의 지적과 조언에도 크게 영향을 받았다. 

이날 오전 대한의사협회는 대한간호협회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현재 전국 에볼라 국가지정 격리병원에는 환자와 의료진 안전에 부적합한 '레벨 D' 등급의 안전보호구만 지급돼 있다"며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CDC가 제안한 '레벨 C' 등급 보호구를 조속히 지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두 단체는 서아프리카 의료진 파견에 대해서도 "에볼라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가능성에 대한 국민 불안이 커지는 만큼, 확실한 안전관리 계획을 세워 의료진과 파견 인력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김옥수 간협회장은 "어제 국립중앙의료원 국정감사에서도 이야기가 나왔듯이 에볼라 환자가 발생하면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치료를 해야 하는데 최근 이곳의 감염내과 소속 간호사 4명이 사표를 냈다"고 주장했다. 

간협 관계자도 "우리나라 의료진이 에볼라 대응 매뉴얼과 안전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한 상황에서, 국내 에볼라 환자 발생 때 직접 치료를 할 가능성이 큰 간호사들이 2차 감염에 대한 우려를 간접적으로 표시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중앙의료원 이종복 부원장은 "지난 8일 시에라리온 국적의 17개월 남아가 에볼라로 의심돼 입원했을 당시 간호사들이 심리적인 공포를 크게 느꼈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꼭 에볼라 공포 때문에 사표를 낸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그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전권회의 준비 등으로 감염병센터 내 음압 병상을비우는 과정에서 간호국 내 파견문제로 일부 갈등이 있었고 의료기관 인증평가 기간등도 겹치며 시기적으로 해당 간호사들이 업무 스트레스를 크게 받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