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화력여단 동두천 잔류 결정
市 "반환전제 1조 개발 물거품"
평택 "들썩이던 지역경제 찬물"


한·미 양국의 전시작전통제권(이하 전작권) 전환 재연기 합의 이후 동두천과 평택이 후폭풍에 휘청거리고 있다.

2016년까지 평택으로 이전될 계획이던 동두천의 미2사단 201화력여단이 잔류하게 되면서 동두천시가 추진해 온 1조5천480억원 규모의 지원도시 개발사업은 사실상 무산 위기에 내몰렸다.

동두천시와 지역정치권이 일제히 반발하고 나섰고 주민들은 반미단체와의 연계 가능성까지 거론하며 전면적인 반대 투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평택은 평택대로, 화력여단과 서울 용산 한미연합사령부의 이전 보류로 지역경제가 적잖이 영향을 받게 됐다.

동두천의 경우 캠프 케이시(14.15㎢)의 반환을 전제로 계획된 지원도시 개발사업과 글로벌21 평화공원 조성사업 등이 당장 물거품이 될 위기다. 한미 양국이 한국군이 자체 대(對)화력전 수행 능력을 증강하는 2020년까지 동두천에 주둔중인 210화력여단을 캠프 케이시에 남겨두기로 합의했기 때문이다.

지원도시 개발사업은 1조5천480억원을 들여 2018년부터 캠프케이시·캠프호비내 부지 553만5천200㎡에 대단위 주거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시는 지원도시 안팎으로 연구단지와 외국대학, 대기업 생산시설 등을 유치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캠프케이시가 주둔해 있는 보산동은 시 중심지로 지하철 1호선 보산역이 개통(2006년)돼 있는 등 개발 수요가 잠재된 지역이다.

글로벌21 평화공원 조성사업은 754억원을 들여 캠프케이시내 부지 125만6천㎡를 시민 여가공간으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지만 이 역시 수포로 돌아가게 됐다.

오세창 동두천시장과 새정치민주연합 정성호 국회의원은 201화력여단의 주둔을 즉각 반대하고 나섰다.

이들은 '철회하지 않을 경우 저지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경기도 역시 공식 입장을 내고 잔류 지역인 동두천에 대한 지원을 촉구했다.

미군재배치범시민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정부의) 일방적인 잔류 발표는 동두천 시민이야 죽든지 살든지 상관없다는 얘기나 다름없다"며 "모든 방법을 동원해 투쟁할 계획이다. 반미성향 단체와의 연대 등도 가리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평택 지역경제도 술렁이고 있다. 201화력여단과 서울 용산 한미연합사령부의 잔류가 결정되면서 미군 임대주택 분양 등 미군 이전 효과에 들썩이던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칠까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앞서 한민구 국방부장관과 척 헤이글 미국 국방부장관은 23일(현지시간) 워싱턴에서 '제46차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ROK-US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를 개최하고 전작권 전환 시기를 재연기하기로 합의했다.

/오연근·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