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높은 조성원가 발목
10년 가까이 정상화 해법 못찾고
市·LH 사업지연 책임 떠넘기기

보상·철거에 쓰인돈 1조7천억원
하루 이자 2억 누적 3700억 달해


인천시 서구 가정오거리 일대를 재개발하는 루원시티 도시개발사업이 10년 가까운 시간동안 뚜렷한 해법을 마련하지 못한 채 겉돌고 있다.

이 사업 공동시행자인 인천시와 LH가 타개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사이, 보상과 철거 비용에 따른 금융 이자는 빠른 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하루 이자만 2억원이 넘는다.

사업 지연에 대한 책임을 놓고 인천시와 LH 간 법정 다툼도 예상되는 등 이 사업이 마무리되더라도 상당한 후폭풍이 몰아칠 것으로 전망된다.

루원시티 사업은 국내 최초의 입체복합도시로 계획돼 이목을 끌었다. 그런데 사업비가 많이 투입되는 전면 철거 방식인 데다, 부동산 경기까지 침체돼 사업성이 크게 떨어졌다. 사업 추진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특히, 인근의 청라국제도시와 검단신도시보다 높은 3.3㎡당 2천100만원의 조성원가는 사업 추진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시와 LH는 사업 정상화를 위한 뚜렷한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업 추진 전략을 세우는 데에만 1년 가까운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

시는 사업 부지를 '중심상업지구'로 지정해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은 물론,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사업을 포기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지만 LH와 합의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한때 중국자본을 끌어들여 '국제부유층 특별구역'으로 조성하는 방안, '한류문화창조특구'나 '교육타운'으로 조성하는 방안 등이 제시됐지만 아이디어 차원에 그쳤다.

시와 LH는 사업 지연의 책임을 서로 떠넘기는 형국이다.

시 관계자는 "더는 이렇게 가면 안 된다는 생각이지만, LH와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답답한 상황"이라고 했다.

LH 루원사업단 관계자는 "현재는 LH가 먼저 투자해 사업을 진행하고 나중에 시와 정산하는 방식"이라며 "시와 LH가 공동으로 투자하는 방식으로 사업 구조를 변경하는 등 시의 전향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시와 LH가 시간만 허비하는 사이 금융 이자는 계속 쌓이고 있다. 지금까지 루원시티 사업에 투입된 돈은 1조7천억원이 넘는다.

가정오거리 일대 97만1천800여㎡에 살던 사람을 모두 내보내고, 건물을 부수는 데 쓴 돈이다. 이로 인한 금융 이자는 연간 880억원에 이른다. 인천지역 전체 초등학생에게 1년 동안 무상급식을 제공하고도 남는 큰돈이다.

지금까지 이렇게 쌓인 이자만 3천7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결국 시와 LH의 사업비 부담이 커지는 것이다.

루원시티 조성 사업 기한은 2013년에서 2018년으로 연장된 상태다. 그러나 이대로 가다간 사업 종료 기한을 한 차례 더 연장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사업이 예정대로 끝나더라도, 사업 지연에 대한 책임 주체와 사업비 분담 비율 등을 놓고 시와 LH 간 갈등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인천시의회 최석정(새·서구3) 의원은 18일 도시계획국 행정사무감사에서 루원시티 사업과 관련해 "이자는 계속 쌓이고, 사업 기간은 길어지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며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