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이 올해부터 도내 전체 학교에 흡연예방교육 예산을 지급하고 외부전문가 초청강의 및 체험교육을 실시하는 등 학생 금연교육을 강화할 방침이다.
담뱃값 인상으로 보건복지부의 국민건강증진기금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복지부가 지원하는 도교육청 교육 예산이 10배 가량 늘어나 예산 운용이 원활해졌기 때문이다.
13일 도교육청은 올해부터 도내 전체 초·중·고등학교에 흡연예방기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별도 예산을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흡연예방 중심학교로 선정된 384개교에만 200만원 가량의 예산을 지급했던 것과 비교했을 때 큰 폭으로 늘어난 수준이다.
특히 지급된 예산을 통해 외부 전문가를 초빙하거나, 흡연예방을 위한 뮤지컬 공연을 실시하는 등 단순한 보건교육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교육방식을 차용할 계획이다.
또 흡연예방 교육이 활성화 돼 있는 거점학교를 선정해 이들 학교에 추가 예산을 투입하고, 일반학교의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더불어 이재정 교육감의 공약인 '꿈의 학교' 중 건강을 주제로 한 '건강학교'를 만들어 체험형태의 금연교실과 도내 소외지역 학교를 찾아다니며 금연 교육을 진행하는 건강버스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금연교육은 보건교사가 학기 중 한학년만 대상으로 보건교육을 하는 등 간소하게 이뤄졌었다. 하지만 담뱃값이 2배가량 오르면서 담배제조자와 수입판매업자가 부담하는 국민건강증진기금 예산이 약 50% 증가해 덩달아 학생 교육 예산이 늘어나게 된 것.
지난해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도 교육청에 지급한 예산은 불과 5억여원이지만, 올해는 50억원가량이 지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실제로 복지부 올해 예산 내역을 살펴보면, 학교흡연예방교육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이 지난해 24억원에서 올해 444억원으로, 420억원이 증액됐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경기도는 워낙 학교가 많기 때문에 예산상의 문제로 다양한 예방교육을 시도하지 못했다"며 "재정난으로 자체예산은 삭감됐지만 올해는 담뱃값 인상으로 복지부 예산이 늘어 실질적인 교육이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현·공지영기자
담뱃값 인상 세수로 '학생 금연교육'
건강증진기금 50% 늘어… 예산 5억 → 50억 지원
경기교육청 보건교실·건강버스등 체험콘텐츠 강화
입력 2015-01-13 23:2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1-14 22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