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장비 생산업체인 J전자는 중국 진출 7년여만인 지난 2013년 광둥성 공장을 양주시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중국 현지 근로자들의 숙련도가 떨어져 인력을 추가로 고용하다 보니 한국보다 상대적인 저임금 구조 속에서도 생산원가를 낮출 수 없었기 때문이다.

1인당 월평균 인건비가 3천700위안(약 64만1천500원) 정도인데 한국의 경우에는 기계 1대당 0.33~0.5명의 근로자를 배치하면 됐지만 중국 현지 공장은 4배 이상 많은 2명이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연 8%대인 중국 금융권의 높은 대출이자와 신제품 부품을 주변공장으로 죄책감 없이 빼돌리는 현지 근로자들의 해이한 도덕적 규범 등도 이전을 결정하는데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J전자는 "숙련도가 높은 한국 근로자를 채용해 불량률을 1%만 줄여도 중국보다 (경영상) 유리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J전자는 수도권 규제에 막혀 양주로의 '유턴(U-turn)'을 포기해야 했다.

정부가 국내로 돌아오는 유턴기업을 위해 최장 7년간 최대 50~100%(5년간 100%, 이후 2년간 50%)까지 법인·소득세를 감면해주고, 한국 입지 투자액의 최대 45%, 설비 투자액의 최대 20%를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지만, 이 역시 '수도권'은 예외다. 시장 여건과 업체 사정상 수도권 입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회사엔 '딴나라' 이야기인 것이다. ┃표 참조

J전자가 구상했던 10억원의 양주 투자계획과 40~50명의 일자리 창출계획은 모두 물거품이 됐다. 우리 기업이 우리나라로 들어오겠다는 것을 수도권 규제가 막은 결과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해외진출기업의 국내복귀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2013년말 이후 올해 1월 현재 도내로 유턴한 기업은 스마트폰용 터치스크린 제조업체인 P사(중국 난징→고양)와 터치스크린 자동세척기 제조업체인 L사(중국 칭다오→시흥), 상업용 인쇄물 제작업체인 G사(중국 칭다오→화성) 등 3곳이 다다.

경기도 경제실 관계자는 "수도권은 유턴기업에 제공할 혜택은 없다고 보면 된다"며 "'당근'은 없이 '빈손'만 건네니 유치가 쉽지 않은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김민욱기자

■유턴기업

미국·중국 등 해외로 진출했다 국내로 돌아오는 기업을 의미한다. 하지만 정부는 지방이전을 독려하기 위해 비수도권으로 이전하는 기업에 한해 세금 감면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