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행정’ 취지와 달리 ‘전시행정’ 논란이 일었던 경기도의회 지역상담소(경인일보 2014년 12월 10일자 1·3면 보도)가 실제 운영을 코앞에 두고 혼선을 빚고 있다.

상담소가 빠르면 다음달께 시·군청 내에 기존 도의원 사무실이 있던 부천·용인 등 5개 시·군에서 처음으로 문을 열 예정이지만, 도의원 수도, 필요한 공간도 제각각이라 ‘따로’ 상담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3일 도의회 여야는 제294회 임시회 직전 의원총회를 열고 시·군별 지역상담소 설치 문제 등을 논의했다. 시·군마다 1곳씩 상담소를 꾸려 해당 지역구 의원들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한편, 스마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해 도의회 사무처와 언제나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지만 실제 설치는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지역마다 의원 수가 천차만별이라 과천·연천·가평에서는 1명이 쓰는 사무실을, 용인에서는 비례의원까지 포함해 11명이 함께 써야하는 처지다. 의원마다 선호하는 위치가 달라 일단 ‘각 지역 시·군청 근처’로 기준을 잡았지만,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시청내 도의원 사무실을 상담소로 활용할 예정인 용인시의 경우, 처인구에 사는 의원은 차로 40분을 운전해야 상담소에 갈 수 있는 반면 기흥구에 사는 의원은 15분 정도면 갈 수 있다. 이용도에도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임차료 제한액인 76만원을 맞추기가 빠듯한 지역도 적지 않은데, 지역구 도의원이 8명인 성남시는 시청 인근 사무실 중 가장 공간이 좁은 56.16㎡ 사무실의 월세가 90만여원이다.

도의회 관계자는 “지역마다 사정이 천차만별이라 쉽지 않지만 구체적인 방안을 정해 의장단 임기가 끝나는 내년 6월까지는 모든 시·군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