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광역행정 수요에 맞는 특례시 지정에 적극 나섰다. 경기도의 수부도시로 인구 120만명을 넘어서면서 지금 규모의 재정과 조직으로는 행정수요가 한계에 부딪쳤기 때문이다. 현재 수원시의 행정규모는 인구 50만명의 지자체 규모와 똑같은 수준으로 머물러 있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행정수요 충족을 위해선 특례시 지정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따라 수원시는 특례시 지정을 위한 지방자치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되도록 할 방침이다. 시의회도 수원권 광역화추진특별위원회를 구성, 적극 나서기로 했다.
수원시는 지난 1949년 당시 인구 5만2천명으로 수원군 수원읍에서 시로 승격된지 올해로 60주년을 맞는 해인만큼 특례시 지정은 수원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이는 계기가 된다. 그간 수원시는 경기도의 수부도시로서 뿐아니라 서해와 중남부를 잇는 사통팔달의 광역교통망을 구축하고 영통과 광교신도시 건설 등 활발한 개발에 힘입어 수도권 요충지로 급성장했다. 이와 함께 폭발적인 인구 증가로 60년 만에 5만 도시에서 120만명을 넘는 대도시로 발돋움했다. 그러나 행정조직이나 재정이 지자체 수준에 묶여 행정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수원시는 특례시 지정을 위해 올해안에 행정구역 조정을 통해 분구 기준과 방향을 재설정하고 불합리한 구·동간의 경계도 재조정해 특례시 지정여건을 갖추어나갈 방침이다.
수원시가 특례시로 지정될 경우 대도시 규모에 맞는 권한 및 기능을 확보하게 되고 재정과 조직 등 행정 수요에 맞는 요건을 충족시키게 된다. 4개 구청장의 직급도 상향되고 400여건의 사무특례와 재정의 자율성을 보장받게 된다. 특히 수원시는 특례시 지정에 앞서 시민들의 숙원사업인 수원비행장 이전 사업 등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수원시 당국자는 이 같은 수원시의 특례시 지정을 반드시 올해 안에 매듭 짓기로 하고 정치권을 비롯한 각계의 지원대책을 마련 중이다. 행정수요는 시민 생활의 편의와 안정을 위해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다. 시 승격 60년이 됐지만 행정 지원은 제자리 걸음이다. 시민들의 불만이 쌓일 수밖에 없다. 균형있는 지역개발도 늦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수원시의 특례시 지정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
수원시 특례시 지정 할 때 됐다
입력 2015-02-05 21:5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2-06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