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요금이 일제히 인상될 전망이다. 광역버스는 오는 3월부터, 시내버스도 오는 6월부터 인상될 조짐이다. 이같은 인상 조짐에 서울 등에 직장을 가진 샐러리맨들은 물론 도민들은 벌써부터 걱정이다. 가뜩이나 경기침체가 이어져 가계부담을 느끼고 있는 도민들은 나빠지는 주머니 사정에 끌탕들이다. 올해 들어 각종 물가도 뛰어 샐러리맨들의 주머니 사정은 여의치 않다. 직장인들의 얇은 주머니를 털겠다는 방침에 저항이 만만치 않을 것 같다. 또한 올해 경기조차 저성장 기류속에 빠져들고 있어 버스요금 인상은 타물가 인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가 높다. 더구나 이같은 버스요금인상은 민의기구인 도의회의 의견도 제대로 수렴하지 않은 채 기습적으로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다. 민의를 반영하지 않은 채 업계의 일방요구에 손을 들어주는 결과라는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 11일 비공개형태로 열린 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에서 버스요금 조정 계획을 보고했다. 보고에 따르면 오는 3월께 M버스를 비롯한 광역버스요금을 인상하고 오는 6월께엔 시내버스 요금도 인상한다는 방침이다. 광역버스는 300~500원, 시내버스는 100~250원 가량 인상안이 제시됐다는 것이다. 현행 시내버스 요금은 성인기준 1천200원, 광역버스 요금은 2천100원임을 감안하면 인상폭은 10%에서 25%에 이른다. 이는 도가 지난해 7월 도내 버스업계의 요청에 따라 버스요금 조정여부와 적절한 인상 규모 용역검토에 따른 것이다. 또한 서울시 등 그간 꾸준히 제기돼온 요금인상안과 환승 할인으로 인한 도의 적자보전 비용이 만만치 않아 요금 조정이 불가피하다는 논리다.

그러나 이같은 버스요금 조정은 서울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직장인과 버스를 이용하는 서민들에겐 악재의 하나다. 그런만큼 실시시기와 요금인상폭에도 도민들의 여론이 충분히 반영돼야 한다. 소비자 기본조례에 따라 교통요금을 결정하게 될 소비자정책심의위원회도 도의회나 도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들어야 한다. 한푼이 아쉬운 서민들에게 버스요금 인상은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연초부터 서민들에게 부담을 안기는 것은 최근 불거지고 있는 증세논란에 기름을 붓는 꼴이다. 충분한 검토와 시기 등 조정작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