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이 도시 근로자 가구의 6년치 소득과 맞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는 안정돼 있지만 전세가는 빠르게 오르면서 직장인들에게 전세금 마련은 갈수록 부담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도 도시근로자 가구의 4.3년치, 전국은 3.4년치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마련할 수 있을 정도로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부동산114는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의 전세 시세와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이처럼 분석됐다고 15일 밝혔다.
서울은 작년말 평균 전세가격이 3억3천849만원으로,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연간 소득(5천682만원)의 5.96배에 달했다.
도시근로자 소득 대비 서울 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PIR)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4.12배에 그쳤으나 2011년 5.28배까지 상승하다가 2012년 5.15배로 다소 완화된 뒤 2013년(5.66배)부터 다시 급등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부동산114가 시세자료를 보유한 기간인 최근 11년(2004∼2014년) 사이의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 중 지난해가 가장 높았다.
이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이다.
부동산114의 시세자료를 기준으로 볼 때 작년말 현재 서울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1년 전(3억1천265만원)보다 8.3%(2천584만원)나 올랐고 2년전(2억7천767만원)보다는 21.9%(6천82만원) 상승했다.
전세 계약 기간이 2년인 점에 비춰볼 때 작년말에 월세로 전환하지 않고 전세를 유지하려 한 가구는 평균 6천만원 가량의 자금이 필요했던 셈이다.
전세보다 월세가 늘어나는 이유도 저금리 탓에 전세금을 마땅히 굴릴 데가 없는 집주인들이 월세 전환을 희망한 때문이기도 하지만 세입자 역시 늘어난 전세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던 탓도 있다.
2004년 말(1억5천432만원)의 전세가는 현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다른 지역의 전세금 추이도 비슷해 지난해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은 수도권과 전국 모두 최근 11년 사이에 최고 수준이었다.
수도권은 4.30배, 전국은 3.43배다.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미만(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6.16배, 수도권이 4.60배, 전국이 3.82배였다.
이처럼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이 높은 것은 기본적으로 전세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2013년에 이어 2014년에도 집값 상승률은 낮았지만 전세가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작년말 국민은행의 주택매매가격 지수를 보면 전국의 집값은 1년 전보다 2.1% 오르고 서울은 0.8%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전세가격지수는 전국이 3.8% 오르고 서울은 4.3%나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매매가 상승률은 기고 전세가는 뛰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매매가는 안정돼 있지만 전세가는 빠르게 오르면서 직장인들에게 전세금 마련은 갈수록 부담스러운 일이 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의 평균 전세금도 도시근로자 가구의 4.3년치, 전국은 3.4년치의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마련할 수 있을 정도로 부담스러운 수준이다.
부동산114는 작년 12월 말 현재 전국 아파트의 전세 시세와 통계청의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2인 이상 기준) 소득을 비교한 결과, 이처럼 분석됐다고 15일 밝혔다.
서울은 작년말 평균 전세가격이 3억3천849만원으로, 지난해 도시근로자 가구의 연간 소득(5천682만원)의 5.96배에 달했다.
도시근로자 소득 대비 서울 시내 아파트의 전세가 배율(PIR)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8년에는 4.12배에 그쳤으나 2011년 5.28배까지 상승하다가 2012년 5.15배로 다소 완화된 뒤 2013년(5.66배)부터 다시 급등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부동산114가 시세자료를 보유한 기간인 최근 11년(2004∼2014년) 사이의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 중 지난해가 가장 높았다.
이는 전세금 상승폭이 소득 증가세보다 컸기 때문이다.
부동산114의 시세자료를 기준으로 볼 때 작년말 현재 서울시내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는 1년 전(3억1천265만원)보다 8.3%(2천584만원)나 올랐고 2년전(2억7천767만원)보다는 21.9%(6천82만원) 상승했다.
전세 계약 기간이 2년인 점에 비춰볼 때 작년말에 월세로 전환하지 않고 전세를 유지하려 한 가구는 평균 6천만원 가량의 자금이 필요했던 셈이다.
전세보다 월세가 늘어나는 이유도 저금리 탓에 전세금을 마땅히 굴릴 데가 없는 집주인들이 월세 전환을 희망한 때문이기도 하지만 세입자 역시 늘어난 전세금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았던 탓도 있다.
2004년 말(1억5천432만원)의 전세가는 현재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다.
다른 지역의 전세금 추이도 비슷해 지난해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은 수도권과 전국 모두 최근 11년 사이에 최고 수준이었다.
수도권은 4.30배, 전국은 3.43배다.
수요가 많은 공급 면적 99∼132㎡미만(30평형대) 크기 아파트는 서울이 6.16배, 수도권이 4.60배, 전국이 3.82배였다.
이처럼 소득 대비 전세금 배율이 높은 것은 기본적으로 전세가가 상승했기 때문이다.
실제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2013년에 이어 2014년에도 집값 상승률은 낮았지만 전세가는 큰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작년말 국민은행의 주택매매가격 지수를 보면 전국의 집값은 1년 전보다 2.1% 오르고 서울은 0.8% 상승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전세가격지수는 전국이 3.8% 오르고 서울은 4.3%나 상승했다.
올해 들어서도 매매가 상승률은 기고 전세가는 뛰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