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준이 통과됨으로써 개각과 함께 집권 3년차를 맞는 박근혜 정부의 후속 인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총리 카드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정운영지지도의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집권 3년차의 국정 동력을 회복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총리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고 여론과 민심이 부정적으로 바뀌면서 인준 절차도 난항을 겪었다. 총리 인준에 대한 여론이 부정적이었으나 세 번째 총리 낙마는 여권으로서는 상정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새누리당이 총력을 기울여 통과시켰으나 후폭풍은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선명성을 내세우고 민주주의와 서민경제의 파탄이라는 전제를 달기는 했지만, 박근혜 정부와의 전면전을 언급한 바 있다. 총리 인준 과정에서 대치한 여야의 강경대치국면이 이어질 것은 뻔한 노릇이다. 연말정산, 공무원연금개혁, 건보료 부과 체계를 둘러싼 혼선과 더불어 증세와 복지 이슈에 여야가 상당한 인식 차를 보이고 있어 향후 정책 조율과 타협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인준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여야 대치가 정국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 된다. 청와대 인사와 개각이 얼마나 민심에 부응하고 불통 논란을 해소할 수 있을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이 총리에게 제기됐던 여론의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만큼 책임총리에 대한 기대가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와대와 여권의 전폭적인 ‘이완구 구하기’에 힘입은 바가 크기 때문에 대통령에게 소신있게 진언하고 내각을 통할할 수 있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지 우려가 앞선다.

상처를 입고 총리가 된 것과 총리 역할을 무리없이 수행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다. 이 총리가 내각을 무난하게 관리하고 청와대와의 소통, 야당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총리로서의 역량을 발휘한다면 인준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여러 의혹의 앙금을 털어낼 수 있을 것이다. 야당도 인준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의혹에 집착하여 대여관계를 대치국면으로 가려해선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다. 여당 역시 국민들의 비판 여론을 무겁게 받아들여 야당과 타협하고 상생의 정치를 펼쳐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