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출범 6개월밖에 안 된 경기도의회가 제식구 몸집 불리기에 나서 연정에 편승한 잇속 챙기기란 비난의 소리가 높다. 도의회는 지난 11일 제 294회 임시회에서 도의회 사무처 인력 17명을 늘리도록 한 ‘경기도 행정기구 및 정원조례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는 지난해 9월 증원을 결정해 11개 상임위마다 배치된 입법조사관을 1명씩 더 늘린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계획에 없던 지역상담소 관리 인력 등에 3명을 추가해 민선 6기 들어 30명의 인력이 늘어났다. 이는 민선 5기 4년 동안 증원된 인력 19명보다 11명이나 많은 숫자다.

이 같은 조직 개편과 증원은 도의회가 역할과 기능에 비해 지나친 인력 증원으로 국민들의 혈세를 낭비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지역상담소 인력 배치는 도의원들이 출신 지역에 자기 사람 심기란 논란으로 비판의 대상이 되었던 부분이다. 결국 도의회는 연정이란 명분으로 잇속만 챙기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도의회는 지난해 9월과 11월, 그리고 이달까지 모두 세 차례에 걸쳐 도의 조직과 정원 개편안을 심의했다. 도의회는 이 과정에서 11월 소방인력 충원심의 결정을 제외하곤 9월에 전체 증원인력 37명중 13명을 늘린 데 이어 이달에 17명을 사무처 인력으로 추가 배치토록 한 것이다. 여론을 의식해 한 번에 인력을 늘리지 않고 몇 차례에 걸쳐 나누어 인력을 증원함으로써 여론의 화살을 피해가는 방법을 택했다. 도의회가 이 같은 인력증원에 대한 명분으로 내걸고 있는 서울시의회 사무처 지원 인력 285명보다 도의회는 214명으로 70명 가량이 적어 의원들의 활동폭이 좁다는 것은 이해가 안 된다는 것이다.

도 공무원노조도 증원 인력 대부분을 임기제로 채우는 것은 도의원들의 자기 사람 심기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노조는 또 민선 6기 출범 6개월이란 짧은 시간에 이뤄진 증원은 연정을 업고 만들어낸 부산물이라고 봤다. 이미 도의회의 입법조사관 증원문제는 처음부터 노조 등의 강력한 반대가 있었다. 도의회는 도민을 위한 활동 배가를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밝히고 있지만 과연 이들 증원인력이 도정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불필요한 예산만 늘려 혈세를 낭비하는 사례가 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