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학교 영어회화 및 다문화 언어 비정규직 강사들이 새학기를 맞아 해고 위기에 몰리고 있다. 경기도 교육청이 재정악화를 이유로 이들 비정규직 강사에 대한 축소방침을 굳혔기 때문이다. 도교육청은 악화되고 있는 재정난을 덜기 위해 기간제 교사와 비정규직 강사 등에 대한 축소 방침을 세우고 수업시간을 줄이거나 재계약을 않는 등 사실상 해고사태에 들어간 것이다. 장기적인 대책 없이 우왕좌왕하는 교육정책 때문에 학교는 학교대로, 강사들은 강사들대로 혼란에 빠져있다.

이들 정규직 강사들은 지난 2009년부터 일선학교의 영어교육 강화와 다문화 가정 교육을 돕기 위해 고용돼 배치됐다. 글로벌화를 위한 영어교육과 지구촌 한가족 교육시책이 시행 5년만에 재정난에 부딪힌 것이다. 한치 앞도 내다보지 못한 우리 교육계의 현실이다. 현재 도내엔 영어회화 전문 강사가 6천500여명, 다문화 언어 강사 130여명이 일선 학교에 배치돼 있다. 이같은 사태로 일선 학교에선 새 학기 들어 당장 교사부족으로 그간 진행해 오던 교육과정을 전면 손질해야 할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비정규직 강사 대부분이 외국인이어서 취업비자 등으로 입국한 경우 대외신뢰도 등 상당한 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구나 이들 비정규직 강사들의 축소과정에서 편법을 동원하고 있다는 비난도 일고 있다. 강사들에 대한 평가과정서 학교장이 재계약 대상에서 제외키 위해 평가점수를 0점처리하는 사례도 있다는 것이다. 학교측은 비정규직 축소 방침에 따라 어쩔 수 없는 조치라고 밝히고 있다. 도교육청은 이미 지난해 12월 다문화 언어 강사에 대해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고 전일제 근무였던 수업시간을 주 15시간 미만으로 줄여 강사진들의 반발을 사고 있는 터다.

사태가 불거지자 다문화 언어 강사와 전국학교 노동조합은 지난 9일부터 다문화 언어 강사의 해고철회와 무기계약직 전환을 요구하며 교육청에서 무기한 노숙농성을 벌이고 있다. 노동법상 4년간 비정규직으로 일하면 당연히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부당해고는 있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 학교 급식대란에 이어 비정규직 강사들의 해고사태가 새해 벽두부터 노숙 농성사태로 이어지고 있다. 교육계의 미래가 걱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