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취임 2주년을 맞으면서 경제 활성화를 연일 강조하고 있다. 다른 무엇보다 경제 살리기를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의지를 국민들에게 전달하려는 듯하다. 이렇게 국가정책에서 경제 활성화가 전면에 나설 때 인천시 정책도 이에 부응해 경제정책을 앞세우는 것이 필요하고, 또 의미도 클 것이다. 작금의 국제경제 상황을 볼 때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 특히 환황해권 지역에 불어올 기회는 엄청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곧 시행될 한·중 FTA를 생각한다면 한국경제에서 인천이 차지하는 위상을 부인할 수 없다. 모든 경제전문가들이 인정하는 중국경제의 성장을 바탕으로 세계경제의 중심이 되는 환황해 경제권은 점차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인천이 한국경제에 큰 공헌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잡고 있는 셈이다. 즉, 인천은 한국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의 원천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국내 다른 지역들이 이를 인정하지 않고 경쟁하려고 한다는 점이다. 그동안의 경험으로 볼 때 이를 중앙정부가 해결하기는 어렵다. 지역간 복잡한 이해관계 구도가 형성되고 정치적 역동성이 포함되면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 이는 지나치게 논리가 비약된 합리성이 낮은 주장이지만, 이런 주장을 서슴없이 할 수 있는 수준에 있는 것도 우리가 처해 있는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인천이 선택할 길은 인천시 정책에서 경제정책을 최우선 과제로 부각시켜 인천의 경제성장에 대한 견인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경제 활성화에 대한 의지가 대외적으로 확실히 천명되어야 인천경제의 성장을 통해 한국경제가 도약할 것이라는 기대를 확산시킬 수 있을 것이며, 최소한 국내적으로 지역간 견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인천의 경제성장은 단순히 인천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송도·영종은 환황해권의 허브 국가로 도약하게 하는 주춧돌이다. 중국경제와의 교류, 글로벌화 및 하이테크 기업의 육성 등이 바로 이곳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인천시의 경제 활성화 의지를 밝히면서, 청와대에서 시작된 정책추진의 효과를 인천으로 유인하도록 서둘러 대책을 마련하기 바란다. 때를 놓치면 이런 희망도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만다. 지금이 인천경제의 ‘골든 타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