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발탄에 사람목숨 잃어도
市, 단순사고로 축소 급급
공론화 움직임 조차 안해
나중엔 MOU 생색 ‘팔짱’
‘60년 고통’ 결국 대책위 꾸려


군 사격장으로 60여년 째 고통 속에 살아온 주민들은 더 이상 못살겠다고 아우성이다.

오랜 세월 고통을 참으며 살아왔지만, 돌아온 것은 고통의 대물림뿐이다. 고통을 견디다 못한 일부 주민들은 마을을 떠났고 더 이상 사람이 살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주민들은 ‘그동안 도대체 정부와 군 당국, 지자체는 뭘 하고 있었는가’라고 되묻고 있다.

과거 정부와 군은 주민들이 고통을 호소할 때마다 피해를 입증하라며 고압적인 자세로 일관했다. 오발탄으로 목숨을 잃어도 당국은 침묵뿐이었다.

지난해 11월 결성된 포천 영평·승진사격장 대책위원회는 이러한 현실을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며 집단반발하고 있다.

대책위는 정부와 군이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닫고 일방통행식 정책을 추진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동안 대화창구가 없었다는 의미다. 이로 인해 피해보상 체계나 주민안전 보안책 등 피해를 입는 주민들을 위한 아무런 대책은 없었다.

주민들이 더욱 분노하고 있는 것은 지자체조차 주민들의 고통을 들어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포천시는 문제가 생길 때마다 모든 것을 단순사고로 축소하기에 급급했다. 그동안 주민들을 대변해 사격장 문제를 공론화하거나 정부에 건의하는 움직임조차 보이지 않았다는 게 주민들이 지자체를 불신하는 이유다.

실제 지난해 대책위 결성에 앞서 육군 8기계화보병사단과 미 2사단, 포천시, 사격장 주민대표 등이 사격장 문제 해결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협의체를 구성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다. 결국 주민들이 나서 대책위를 조직하게 됐다.

MOU체결 이후 포천시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주민들은 “포천시는 MOU의 들러리였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주민들은 MOU 조항에 일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지만 시는 “MOU 자체만으로도 큰 성과”라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정부와 군, 지자체가 그동안 주민피해에 대해 무관심과 외면으로 일관해 피해를 키운 것이며 피해보상과 대책을 넘어 사격장을 폐쇄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포천/윤재준·최재훈·권준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