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8천개 필요 설치개수 부족 판단 수거·확인
“LH, 시공 맡긴뒤 현장감독 안했다”제보 조사나서


9명의 사상자를 낸 용인시 남사면 국지도 공사현장의 교량 상판 붕괴사고(경인일보 3월26일자 1·23면 보도)는 기준보다 하중이 약한 조립식 동바리(거푸집을 받쳐주는 기둥)를 사용하는 등 전형적인 인재(人災)로 드러났다.

특히 경찰은 발주처인 LH가 롯데건설측에 시공을 맡긴 뒤 단 한 번도 관리 감독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고 공사관계자 등을 상대로 조사를 벌이고 있다.

26일 오전 경찰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현장 감식을 벌여 사고 현장에서 사용한 동바리가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조립식인 것을 확인했다.

‘콘크리트 교량 가설용 동바리 설치지침’에 따르면 조립식인 시스템 동바리는 10m이상 높이의 건축물에서는 설치할 수 없지만, 12m이상인 사고현장 교량에 사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경찰과 한국시설안전공단 관계자 등은 동바리 시공과정에서 현장소장 등이 기준을 무시하고 설치가 간단한 시스템 동바리를 사용했다가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하중을 견디지 못해 붕괴한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또 동바리설치 개수도 부족한 것으로 보고 붕괴현장의 동바리를 수거한 후 설치기준과 대조해 개수를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사고 현장이 콘크리트 더미와 철근, 가설물 등이 뒤섞여 동바리를 모두 수거하기 위해서는 최소 5일이상이 소요될 전망이다. ‘거푸집 동바리 구조설치 안전관리기준’에 따르면 사고현장의 동바리는 최소 8천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

이와 함께 경찰은 이날 발주처인 LH와 시공사인 롯데건설 현장사무소, 하도급 업체인 대도토건, 자재를 공급한 K산업에 대해 압수수색을 벌인데 이어 현장 안전책임자 등 공사 관계자 4명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특히 LH가 공사현장에 대한 관리 감독을 전혀 하지 않았다는 제보를 받고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등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에 무너져 내린 건설자재를 모두 치운 뒤 차례로 다시 분류해야 정밀 감식이 가능할 것”이라며 “압수한 자료를 분석한 뒤 관련자를 차례로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홍정표·김범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