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의회 의원들 간 갈등과 반목이 심화되면서 이전투구식 폭로전으로까지 비화해 비난 여론이 뜨겁다.

반성과 성찰을 통한 화합은커녕 급기야는 폭로전 중심에 서 있던 동료 의원을 제명 처리하는 최악의 사태까지 벌어졌다. 민의를 저버린 이 같은 행태가 무려 11개월째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7월 상반기 의장단 선거 때부터 불거진 의원들 간의 불협화음이 의장 불신임, 의장 재선출, 의원 간 폭로전 등 진화(?)를 거듭해 오고 있다.

이 결과는 매우 참담하다. 재적 의원 13명에서 현재 의원은 11명이다.

일부 의원에 대해 허위사실을 유포하거나 폭로하고, 공무원 인사에 부당하게 개입하는 등의 이유로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된 A 의원은 지난 17일 제명처리(찬성 9명, 반대 2명) 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보다 앞선 지난 3월에는 수억 원대의 도박을 한 혐의로 기소돼 재판이 진행 중에 있던 B 의원이 동료 의원들과 시민단체 등의 자진사퇴 압박에 굴복해 결국 자진사퇴했다.

B 의원이 동료의원들의 자진사퇴 압박에 불만을 품고 일부 의원들에 대한 허위사실을 폭로하면서 의원들 간 폭로전이 점차 노골화되기 시작했다.

공직선거법 위반이 아닌 개인들의 불미스러운 행동으로 의원직을 상실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두번씩이나 벌어져 의회에 대한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자신들을 뽑아 준 주민들을 대신해 의정활동에 전념했어야 할 의원들이 이를 아랑곳하지 않은 채 자신을 스스로 낭떠러지로 밀어낸 결과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도입된 지 20년이 넘었으나 아직도 의원들의 자질 시비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일부 의원들의 불미스러운 일로 오는 29일과 10월에 각각 보궐선거가 치러진다. 이 보궐선거 비용은 귀중한 혈세로 부담되는 등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의 몫이다.

이제는 더 이상 유권자들이 이 같은 대가를 대신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소중한 투표권 행사로 진정 주민을 섬길 줄 아는 후보를 선택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때인 것 같다.

/이귀덕 지역사회부(광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