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감염자와 같은 병실
방역당국, 역학조사 실시
1주일새 확진 5 → 18명
더딘 진화 정부불신 확산
정보 제한적, 불만 잇따라


경기도내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 의심자가 1일 사망하면서 그동안 온갖 괴담을 양산하며 확산됐던 공포가 현실이 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께 경기도내 한 병원에서 최초 감염자 A(68)씨와 같은 병실을 사용해 감염의심자로 분류됐던 B(58·여)씨가 숨졌다. 방역당국은 급성 호흡부전으로 숨진 이 여성과 메르스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역학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B씨는 메르스 확진 환자가 아닌 의심 환자로 파악됐다”며 “조사결과 최초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확진자는 아니지만 의심자의 첫 사망으로 메르스 공포는 보건 당국의 통제 범위를 벗어났다.

특히 지난달 15~17일 최초감염자 A씨가 입원했던 도내 한 대학병원에서 치료받은 C(40)씨, D(45)씨, E(77·여)씨가 이날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았다. C씨와 E씨는 A씨와 같은 병동에 입원했던 환자이고 D씨는 병간호를 위해 해당 병원에 머물렀다가 메르스에 감염됐다.

이날 하루동안에만 메르스 감염자 3명이 추가로 발생하면서 1주일 전까지만 해도 5명에 불과하던 환자 수는 18명으로 늘었다.

최초 메르스 감염자가 입원했던 병원에서만 15명이 감염됐고, 일부는 상태가 위독한 것으로 전해졌다.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실이 확인된 격리 대상자 수는 사흘만에 5배 이상 증가한 680여명까지 치솟았다.

이와 함께 메르스 최다 발생지로 알려진 도내 한 지역에서는 지난달 27일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이 메르스 의심 증세를 보여 자가격리돼 학교측은 ‘휴교 여부’까지 검토됐지만, 이날 유전자 검사결과 음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 B씨가 사망한 병원 인근 사립유치원 6곳이 원생 보호를 위해 2일부터 5일까지 휴원을 결정했다. 도 교육청은 공립유치원의 휴원 필요성을 검토하며 상황에 따라 조치한다는 방침이다.

메르스에 대한 진화작업이 지지부진하고 감염 의심자의 사망까지 이어지면서 정부 대책에 대한 불신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감염지역과 의료기관 비공개를 고수하는 것이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는 불만도 잇따르고 있다. 지역 발생 사고임에도 불구하고 경기도가 적극적인 개입 모습을 보이지 않아, 감염병 재난 관리에도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경기도는 도내 전 지역 보건소의 출동시스템을 구축하고, 지역거점병원 격리병상 확보 등 추가적인 대책을 준비중이다.

한편 대한감염학회 등은 이날도 적절한 격리치료 등이 이뤄질 경우 메르스의 지역 확산 가능성이 낮다며 국민들을 안심시키는 데 주력했다.

/권준우기자 junwo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