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의 확산으로 경기도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보건당국과 국민들 사이에 감염병에 대한 정보 격차가 공포감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경기도는 중앙정부의 매뉴얼에만 의존한 채, 대책 마련 등에는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일 메르스 발생 지역과 의료기관 등을 국민에게 공개해 지역 주민들이 경각심을 갖고 대처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가 비공개로 메르스 확산 저지에 나섰지만, 메르스가 확산상황에 있는 만큼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이에 따른 의료기관의 피해는 향후 국가가 보상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도 덧붙였다.

일반 국민 사이에서도 이같은 시각은 존재한다. 우리 지역 병원에서 메르스가 확산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불안감 때문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공무원이라는 신분 때문인지 메르스와 연관된 의료기관을 알려달라는 전화를 지인들로부터 하루 수십차례 받는다”며 “어차피 상황이 이렇다면 차라리 메르스 확산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직장인 김현식(35·수원시)씨는 “특정 계층만 감염병에 대한 정보를 독식하는 것 아니냐”며 “정보가 없으니 루머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불만을 나타냈다.

경기도의 안일한 대응도 도마에 올랐다. 부산시 등이 긴급 의료기관 회의 등을 통해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는 반면, 경기도는 이렇다 할 대처 행보를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메르스 사태 이후 경기도방역대책본부장을 맡고 있는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는 이날도 남경필 지사를 대동해 치안 협약 행사장 등에 얼굴을 비추는 등 평소에 다름 없는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모니터링과 거점병원 가동 준비는 물론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서 메르스에 대한 신속검사를 하는 등 대책에 분주한 상황”이라며 “다만 혼선을 우려해 중앙과 보조를 맞추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성·이경진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