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르스 발생지역 감염자 및 의심자들이 거쳐 간 병원은 물론 심지어는 관련 내용이 담긴 경기도 등 공공기관 문서까지 SNS를 통해 공유되고 있지만, 정부는 여전히 비공개 원칙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정보공유 차원에서 주민들 간 관련 소식을 서로 전달하고 있지만, 보건당국은 이를 루머 유포로만 치부하며 민심과는 정반대의 대응을 해 빈축을 사고 있다.
보건당국은 지난달 20일 메르스 환자 첫 확인 후부터 발병 지역과 병원을 비공개로 하고 있으며, 이 같은 기조는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메르스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고, 개별 병원의 피해를 우려해서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과 기조는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
이미 해당 병원과 지역은 SNS를 통해 유포되고 있으며, 일부 병원에서 메르스 검진 진행을 위해 해당 지역과 병원 등을 공지했다는 증언도 나온다. 오히려 잘못된 지역과 병원 정보가 국민들 사이에서 유추돼 사실인 것처럼 확산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때문에 메르스 발생 지역으로 알려진 평택의 시민사회단체들은 20일 메르스 정보를 공개하고, 보건복지부 장관과 평택시장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실태 파악에 나설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한 시민은 “정부가 말한 루머가 결과적으로는 다 사실 아니냐”며 “정부보다 지라시를 믿어야 할 판”이라고 한탄했다.
인천에서도 보건당국 발표보다 SNS가 사실을 먼저 전달했다. 이날 메르스 확진 환자 1명이 인천 A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2일 오후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이날 오전부터 이미 퍼질 대로 퍼진 상황이었다.
인천 남동구에 사는 한 회사원은 “점심때가 못돼서 지인으로부터 ‘메르스 확진 환자가 A병원에 갔으니 참고하라’는 전화를 받았다”며 “옆 사무실로 갔더니 다른 직원도 ‘A병원 가는 걸 조심하라’는 내용의 문자를 엄마한테 받았다”고 했다.
그는 “나중에 언론 보도를 보니 그 내용이 소문이 아닌 사실이었다”며 “인터넷에 각종 소문이 난무한다고 하는데, 혼란을 막기 위해서라도 정확히 공개됐으면 한다”고 했다.
한편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지역·병원명 전면 공표에 관해 “그 같은 고민에 근거가 많지 않다고 본다”며 여전히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김태성·이현준기자 mrki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