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에 대한 지역확산 우려가 커졌지만 경기도의 뒷북 대응으로, 도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의심자 속출로 격리병상 확보 등의 대책이 마련돼야 하지만, 경기도가 확보한 음압병상(바이러스가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설계된 병상)은 23개에 불과한 상태다. 메르스 대응을 정부에만 의존해, 메르스 확산속도에 경기도가 따라가지 못하는 꼴이다.
2일 경기도 및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3차 감염자가 발생하고 감염 의심자가 750여명을 넘어섬에 따라 지역확산에 대한 우려도 커진 상태. 하지만 현재 감염자를 격리 치료할 수 있는 음압병상은 불과 23개소 뿐이고, 격리병상도 23개소 144개에 불과하다.
격리병상은 모두 지역거점병원과 도 의료원 등 기존에 가동이 예정돼 있는 병원의 병상이다. 감염병 확산에 따라 병원들과 협의해 추가적인 격리병상을 확보해야 하지만 뒷북 대응에 이를 갖추기 위한 ‘골든타임’을 놓쳤다. 메르스 공포로 일선 병원의 병실 등을 확보하기 녹록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한경 도 보건복지국장은 “일선 병원에 협조를 구하는 것은 강제가 아닌 권고사항이어서 애로가 예상된다”며 “최대한 협조를 구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메르스 병원’이라는 낙인을 우려하는 보건당국이 이제와 추가 병원을 찾겠다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는 지적이다. 도 내부에서도 이 같은 상황이 ‘안일함’에서 비롯됐다는 비판이 나온다.
남경필 지사 등의 강조로 도가 대형사고에 대한 도 차원의 컨트롤타워 등 재난안전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히면서, 정작 감염병이라는 재난에는 정부의 관리에만 의존한 것이다. 실제 보건을 총괄하는 이기우 사회통합부지사가 경기도방역대책본부장을 맡았지만, 이 부지사가 주재한 대책회의는 두 차례에 불과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 관계자는 “정식 회의는 적었지만 SNS와 사무공간에서 간이 미팅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남 지사와 이 부지사 등은 뒤늦게 평택을 찾아 메르스 발생대책에 대한 비공개회의를 가졌고, 박수영 행정 1부지사도 긴급 실·국장회의를 통해 도가 선제적으로 할수 있는 분야별 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김태성·이경진기자 mrkim@kyeongin.com
[메르스 공포 확산] 정부 바라보다 ‘골든타임’ 놓친 경기도
감염자 격리 치료 ‘음압병상’ 23개·격리병상 144개 불과
지역확산 우려 커지자 뒷북 추가확보나서 ‘안일함’ 질타
입력 2015-06-02 23:2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06-03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메르스 공포에 감염된 한국 경제… 손세정제 판매 불티
2015-06-02
-
‘메르스 환자사망·3차감염’ 주민 공포감 극심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늘어만가는 감염 의심자수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정부 ‘정보 비공개’ 민심과 역주행… SNS ‘소문 무성’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인천의료원 임시진료소 오픈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메르스 감염 어떻게 되나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초기 정부 대응 허술” 여야, 초당협력 제안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3차 감염… 더 깊숙이 침투한 메르스
2015-06-02
-
[메르스 공포 확산] 3차 감염 '메르스' 예방법
201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