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에 대한 한·중 또는 남북한과 중국간의 공동대응 방안이 제기되고 있어 그 실현 가능성이 주목된다.
 일본의 역사왜곡과 관련해 중국은 “침략의 역사를 미화하는 반동적 입장이 변하지 않았다”, 북한은 “일본이 성근(성실)하게 반성하지 않는다면 패망의 말로를 면치못할 것”이라고 강력히 반발하는 상황으로 3국 연대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는 것.
 그러나 정부는 현재까지 3국 공동대응 방안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韓昇洙외교장관도 6일 국회 답변에서 “중국·북한과의 공동대응이 가장 효과적인 것인지 여부가 불확실하다”면서 “현재로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 일본의 대응에 따라 신중히 검토할 문제”라는 원칙론을 고수했다.
 정부는 내심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에 대한 공동대응이 '실익'이 없다는 판단을 내리는 모습이다. 남북한, 중국과 일본간의 관계가 서로의 처한 입장에 따라 다른 상황에서 획일적인 공동 연대방안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 제시되는 일본의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과 관련해 정부가 한·중양국간 연대에 난색을 표시하는 것도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의 경우 '거부권'을 가지고 있어 실질적인 의미가 있지만 우리는 사정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 중 한명인 다이빙궈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이 9일 방한, 金大中 대통령을 비롯한 국내 주요 정·관계 인사를 모두 만나는 과정에서 왜곡 교과서 공동대응 방안을 제안할 가능성이 높아 우리 정부의 대응이 주목된다.
 정부 당국자는 “최소한 우리가 먼저 교과서 문제 얘기를 꺼내지는 않을 방침”이라면서 “의견교환 차원에서 이야기는 오갈 수 있지만 공동대응 방안을 모색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선을 긋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아닌 민간차원의 공동연대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이미 쿠바 아바나에서 열린 국제의회연맹(IPU) 총회에서 남북한이 중국과의 공동연대를 통해 강력한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원칙에 합의한 것이 좋은 예 중 하나다.
 이밖에 시민단체들도 비정부기구(NGO) 회의 등에서 3국 연대를 통한 역사교과서문제를 제기하며 세계 여론을 환기시킬 수도 있어 비정부 차원의 '일교과서' 공동대응은 어떤 형태로든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