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은 미쓰비시 해저 탄광이 있던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AP=연합뉴스 |
현재 일본 정부는 8개 현 23개 시설에 대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했다.이중 이른바 '군함도'라 불리는 하시마 해저탄광 등 7곳은 조선인들이 끌려가 강제 노역을 하며 고초를 겪은 곳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는 유네스코 등재 신청지에 있는 이들 시설을 운영한 5개 기업에 끌려가 희생된 조선인은 1천516명으로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5개 기업은 미쓰비시중공업의 나가사키조선소, 미쓰비시광업의 다카시마탄광·하시마탄광, 미쓰이광산의 미이케탄광, 신일본제철의 야하타제철소다.
위원회는 2005∼2008년 국내외 강제동원 피해 신고를 받은 내용을 분석해 사실 확인과 서류 분석 등 작업을 벌여 피해자 판정을 했다.
이 중 현지에서 사망(94명)하거나 행방불명(6명)돼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조선인은 100명으로 집계됐다.
생존자 수는 신고를 마감한 2008년에는 356명이었지만, 고령인 피해자들이 잇달아 사망하면서 올해 2월 기준 94명으로 급감했다.
위원회는 생존자들 대부분이 징용으로 인한 후유증과 노환 등으로 건강이 좋지 않고 외부 출입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지금까지 공식 판정한 피해자 수는 신고에 기반을 둔 까닭에 제한적이고 일본 시민단체와 학계가 파악한 숫자와도 차이가 난다.
일례로 일본 시민단체와 학계는 이들 기업에 끌려갔다가 죽거나 행방불명된 조선인 피해자 숫자를 116명(나가사키조선소 13명·다카시마탄광 2명·하시마탄광 48명·미이케탄광 50명·야하타제철소 3명)으로 보고 있다.
또, '나가사키 재일조선인의 인권을 지키는 모임'이 1986년 발굴한 '화장인허증 및 변재보고서(나가사키)'에는 하시마 지역에서 사망한 조선인 명단 122명이 포함돼 있다. 이는 우리 정부가 판정한 사망자 수(28명)를 크게 웃돈다.
위원회는 당시 한정된 기간에 피해 접수를 한 사람들을 분석해 피해자 판정을 내린 것이어서 실제 피해자가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본 정부와 해당 기업들이 한국에 관련 자료를 공개하지 않고, 한일 양국의 학계 등이 참여하는 공동 조사가 전혀 없어 정확한 피해 실태 파악이 요원한 상황이다.
현지에서 목숨을 잃은 피해자 중에는 유골조차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한 경우가 많아 유골 봉환 문제도 숙제다.
위원회 관계자는 "강제동원 피해 신고 접수를 재개하면 피해자 수는 많이 늘어날 수 있다"며 "일본 정부는 유네스코 등재 강행보다 문제가 되는 작업장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와 희생자 유골 봉환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