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에 이어 3·4호기의 증설계획이 발표되면서 대기오염 및 해양생태계 파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전력 수요 전망으로 볼 때 영흥도에 최대 12기까지 화력발전소가 들어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화력발전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보는 영흥화력발전소가 환경에 미칠 영향 및 대책 등을 4회에 걸쳐 점검한다.

인천시 옹진군 영흥도는 2년전 육지로 탈바꿈한 섬이다.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를 건설중인 한국남동발전(주)가 건설한 1천250m, 폭 13.3m의 영흥대교가 지난 2001년 11월15일 개통했기 때문이다. 인천 연안부두나 선재도까지 배를 타야 육지로 나갈 수 있었던 번거로움은 이제 주민들에게 옛일이 돼버렸다.

영흥대교는 수도권 시민들에게 시화방조제의 4차선 도로와 연계한 최고의 드라이브 코스이기도 하다.

화력발전소 건설은 이처럼 섬마을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이를 실감케 하듯 영흥도 곳곳에선 최근 각종 건설공사가 한창이다. 인구도 현재 3천400여명으로 지난 2000년에 비해 70% 가량이 증가했다. 음식점은 또한 2000년 보다 3배 가량 늘어난 140개가 영업중이다. 면적이 23.46●에 불과한 섬에 유흥주점과 노래방, 모텔 등 각종 위락·편의시설도 앞다퉈 들어서고 있다. 화력발전소가 서해의 한적했던 섬마을을 도시로 변모시키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화력발전소 1·2호기 건설에 1천500여명의 인력이 투입되면서 발전소 건설로 인한 직간접적인 경제효과는 지역 경제의 70% 가량을 점유하고 있다. 여기에다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영흥도에 투입되는 발전소 주변지역지원사업 지원금 총액은 1천424억원에 달한다.

화력발전소 건설로 인한 지역발전이 가시화하기 때문인지 화력발전소 건설 반대시위 등으로 주민구속사태까지 빚었던 사업초기와 달리 지역에서 화력발전소 건설에 대한 거부감은 많이 희석된 듯했다.

이를 입증하듯 한국남동발전(주)가 지난해 8월 실시한 영흥화력발전소 3·4호기 관련 설문조사에서 주민의 75%가 3·4호기 유치에 동의했다. 면사무소 관계자는 “발전소 유치를 통해 지역이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주민들이 더 중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영흥화력발전소 3·4호기는 총사업비 1조5천억원이 투입돼 1·2호기 건설시 정지작업이 완료된 부지내에 2009년 3월까지 준공될 예정으로 내년 3월 착공할 예정이다. 현재 종합공정률 80%를 웃돌고 있는 영흥화력발전소 1·2호기(각 80만㎾급)가 내년에 준공하면 영흥도는 영원히 '발전소의 섬'으로 자리잡게 된다.

그러나 문제는 청정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유연탄을 사용하는 화력발전소가 수도권 지역의 환경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을까 하는 점, 그리고 화력발전소의 영향권이 영흥도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특히 지난해 말 가톨릭환경연대 등 시민·환경단체와 공무원으로 구성된 민관합동기구인 '영흥화력발전소 민-관 공동조사단'이 성명을 통해 “영흥화력 3·4호기 건설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검토한 결과, 대기질이나 해양생태계의 영향예측이 현재의 상황이나 미래의 환경영향을 객관성있게 기술하지 못했다”고 지적,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여기에다 한국남동발전소(주) 등은 모두 12기의 발전소를 건립할 수 있는 부지를 이미 확보하거나 부지 확보와 관련한 법적 준비를 마친 상태여서 발전소의 추가 건설이 예상되고 있는 실정이다. 성을 방불케하듯 거대한 위용을 자랑하며 섬의 한 귀퉁이에서 솟아오르고 있는 화력발전소. 보다 면밀한 검증과 슬기로운 대처가 필요한 때이다.